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력적 개념도 작성과 상호설명이 협력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8

영문명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Concept-Mapping and Reciprocal Explanation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발행기관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정선영(Sunyoung Joung)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26집 제2호, 143~16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2.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시 협력적 개념도 작성을 상호설명에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학습전략이 협력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개념도 작성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2명의 예비교사들이 사전검사, 웹자료를 기반으로 한 개별학습, 개별학습 내용에 대한 협력적 성찰학습, 협력적 문제해결, 그리고 사후검사에 참여했다. 개념도 작성과 상호 설명이 협력적 성찰과정에 함께 사용되었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협력적 문제해결과 개념이해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처치 집단에서는 두 명이 한 조가 되어 개별학습 내용에 관한 주어진 질문에 상호설명을 주고 받은 후 집단의 개념도를 함께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통제 집단에서는 상호개념도를 작성하지 않고 주어진 질문에 대해 상호 설명만을 주고받도록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념도 작성과 상호설명을 동시에 사용한 처치집단이 상호설명 만을 사용한 통제 집단보다 주어진 시나리오 문제를 더 잘 해결하였다. 그러나, 학습내용에 관한 지식의 기억에는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념도 작성이 상호 설명과 동시에 사용되었을 때 협력적 문제해결에 더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cept-mapping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when it was additionally used with the reciprocal explanation. 72 pre-service teachers grouped in dyads participated in the series of pre-test,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with web-based reading materials, collaborative reflection activity under different treatment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nd post-test. Under concept-mapping with reciprocal explanation groups, subjects grouped in a dyad drew a concept map alternatively after exchanging reciprocal explanation on the reading materials. Under reciprocal explanation groups, on the other hand, subjects in dyads reciprocally explained their understanding on the reading materials without drawing a concept-map. The results reported that the groups with concept-mapping solved the given scenario problem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s. The study suggests the effectiveness of concept-mapping fo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험 결과
Ⅴ.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선영(Sunyoung Joung). (2007).협력적 개념도 작성과 상호설명이 협력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26 (2), 143-161

MLA

정선영(Sunyoung Joung). "협력적 개념도 작성과 상호설명이 협력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26.2(2007): 143-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