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Concept-Mapping and Reciprocal Explanation 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정선영(Sunyoung J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26집 제2호, 143~16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협력적 문제해결 시 협력적 개념도 작성을 상호설명에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학습전략이 협력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과 개념도 작성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72명의 예비교사들이 사전검사, 웹자료를 기반으로 한 개별학습, 개별학습 내용에 대한 협력적 성찰학습, 협력적 문제해결, 그리고 사후검사에 참여했다. 개념도 작성과 상호 설명이 협력적 성찰과정에 함께 사용되었을 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의 협력적 문제해결과 개념이해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처치 집단에서는 두 명이 한 조가 되어 개별학습 내용에 관한 주어진 질문에 상호설명을 주고 받은 후 집단의 개념도를 함께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통제 집단에서는 상호개념도를 작성하지 않고 주어진 질문에 대해 상호 설명만을 주고받도록 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념도 작성과 상호설명을 동시에 사용한 처치집단이 상호설명 만을 사용한 통제 집단보다 주어진 시나리오 문제를 더 잘 해결하였다. 그러나, 학습내용에 관한 지식의 기억에는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념도 작성이 상호 설명과 동시에 사용되었을 때 협력적 문제해결에 더 효과적임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cept-mapping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when it was additionally used with the reciprocal explanation. 72 pre-service teachers grouped in dyads participated in the series of pre-test,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with web-based reading materials, collaborative reflection activity under different treatment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nd post-test. Under concept-mapping with reciprocal explanation groups, subjects grouped in a dyad drew a concept map alternatively after exchanging reciprocal explanation on the reading materials. Under reciprocal explanation groups, on the other hand, subjects in dyads reciprocally explained their understanding on the reading materials without drawing a concept-map. The results reported that the groups with concept-mapping solved the given scenario problem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s. The study suggests the effectiveness of concept-mapping fo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험 결과
Ⅴ.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험 결과
Ⅴ.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완벽주의 구성요인 탐색
 - 학교조직발전의 이론, 실제, 전략 및 전망
 - 초등학교 조직문화 형태, 학습조직 수준 그리고 조직효과성간의 관계
 - 賀詞
 - 전인교육 실현에 관한 고찰 - 초ㆍ중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 행정중심복합시도 교육인프라 구축을 위한 교육수요 예측
 - 申仲植 博士 年譜
 - 학교교육의 공공성, 공교육 그리고 학생의 이익 고려
 - 사립대학 재정의 운영건전성과 재무안전성 분석연구
 - 협력적 개념도 작성과 상호설명이 협력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 불교경전에 나타난 아동교육론 연구
 - 대학생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 보육정책의 문제와 과제
 - 사회소속감(Social Connectedness)이 대학생의 학업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아의 정서지능 및 가정교육환경 관계
 - 평생교육체제의 개념과 체제발전을 위한 경영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Farmers' Mobilization in the Shaanxi-Gansu-Ningxia Border Region During the Full-Scale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 An Analys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Demand Motivation Theory
 - The Theoretical Logic and Historical Orientation of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 Examining and Rethinking the Theory of Capitalist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ic Hist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