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2주제 발표】 : 창의성 검사의 문제점과 과제
이용수 281
- 영문명
- The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psychometric approaches to creativity test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이신동(Shin-dong Lee) 송의열, 정미경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권 제1호, 63~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4.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psychometric approaches of creativity test and to find alternatives to solve. Fist of all, because the approach Guilford and Torrance proposed,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as factors to measure creativity, have several problems related to measurement, this study pointed out and made critics about problems it has.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history of psychometric approaches of creativity, approaches to do research on creativity, psycho-metric methods to measure creative processes, creative person, creative products, and creative environment as research areas for creativity. Then, the limitations of psychometric approaches for creativity test were reviewed.
In conclusion,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were proposed for future research.
In conclusion, alternatives to solve these problems were proposed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창의성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접근의 역사
Ⅲ. 창의성 연구에 대한 접근
Ⅳ. 창의성 검사의 영역
Ⅴ. 창의성 검사의 심리측정학적 문제
Ⅵ. 결론 : 창의성 검사의 과제
참고문헌
【제 2주제 토론 1】 : “창의성 검사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
【제 2주제 토론 2】 : “창의성 검사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
Ⅱ. 창의성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접근의 역사
Ⅲ. 창의성 연구에 대한 접근
Ⅳ. 창의성 검사의 영역
Ⅴ. 창의성 검사의 심리측정학적 문제
Ⅵ. 결론 : 창의성 검사의 과제
참고문헌
【제 2주제 토론 1】 : “창의성 검사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
【제 2주제 토론 2】 : “창의성 검사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