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aning of a Japanese sentence [site morau]: Mainly on a meaning of causativ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승림(Kwon Seunglim)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3 No.4, 325~33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enefactive verbs in Japanese can be classified into 1) ‘site ageru’(「してあげる」, 2) ‘site kureru’(「してくれる」), and 3) ‘site morau’(「してもらう」)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action. ‘Site morau’ sentences are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similar to passive sentences in the sense that a benefactive of an action is in the subjective position and an agent is in the dative position. However, they morphologically take an active form. Thus, they shar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dition in which a ‘site morau’ sentence changes into a causative sentence. In addition, it analyzes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ausative sentences and ‘site morau’ sentences. It also shows that ‘site morau’ sentences can be changed into causative sentences, since causative sentences have semantic properties of both ‘giving’ and ‘receiving’. Lastly, ‘site morau’ is subcategorized into 1) typical ‘site morau’, 2) moderate ‘site morau’, 3) causative ‘site morau’, with each type studied in depth.
목차
Ⅰ. 서론
Ⅱ. 「してもらう」文이란
Ⅲ. 사역적 「してもらう」文
Ⅳ.「してもらう」文의 하위 유형
Ⅴ. 결론
참고 문헌
Ⅱ. 「してもらう」文이란
Ⅲ. 사역적 「してもらう」文
Ⅳ.「してもらう」文의 하위 유형
Ⅴ.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칙 외
- 웹기반 교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영어 교사 평가
- 「してもらう」文의 意味 : 사역적 의미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영어과 선택교육과정 과목 개설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 독해 전략 강화 훈련을 통한 전략 사용의 변화
- Examining Roles for EFL Teachers: From the Korean Learners’ Perspectives
- Question Types of Korean EFL Textbooks in Both Sixth and Seventh National Curricula
- An Analysis of Korean EFL Learners’ Revision and Writing Quality in CMC Environment
- 초등영어 읽기 지도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 On the ‘Mother Tongue’ Variable Influencing ESL Learners’ Perception of English Tag Questions
- 동기와 언어불안감이 영어 말하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 특성 연구 - 등급표와 문항유형 중심으로
- Integrative Motivation Revisited: The Case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 Validity of Using Text-Based Online Chat for Error Analyses
- Degree Adverbial Collocations in the Korean EFL Learners’ Writing Corpus - With a Focus on Intensifi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