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reading i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Lee Yoon)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3 No.4, 271~2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tent knowledge and beliefs of 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reading instruction from the Shulman’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view, and explores the realities of reading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For the purpose,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questions were consisted of three areas: items for in-class reading instruction, teacher’s belief on reading, and teacher’s content knowledge about reading. The data revealed that the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insufficient content knowledge for reading instruction, particularly in word analysis skills such as phonemic awareness, letter sound relationships, word frequency, and other topics related to reading. However, teachers’beliefs were different from their knowledge. Whereas their content knowledge about phonics, reading aloud, or story-based reading method is lower, they believe that those skills are effective for reading.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alities of reading classroom were different from teachers’ beliefs. Although teachers believe that rich print environment facilitates the learners’ reading development, the print environments were little provided and they did not refer to print for their teaching.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s that teacher training which focuses on reading instruction needs to be emphasized for effective reading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영어 지도와 교사의 전문성
Ⅲ.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 문헌
부록 - 설문지
Ⅱ. 영어 지도와 교사의 전문성
Ⅲ.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 문헌
부록 - 설문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칙 외
- 웹기반 교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영어 교사 평가
- 「してもらう」文의 意味 : 사역적 의미를 중심으로
- 고등학교 영어과 선택교육과정 과목 개설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 독해 전략 강화 훈련을 통한 전략 사용의 변화
- Examining Roles for EFL Teachers: From the Korean Learners’ Perspectives
- Question Types of Korean EFL Textbooks in Both Sixth and Seventh National Curricula
- An Analysis of Korean EFL Learners’ Revision and Writing Quality in CMC Environment
- 초등영어 읽기 지도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 On the ‘Mother Tongue’ Variable Influencing ESL Learners’ Perception of English Tag Questions
- 동기와 언어불안감이 영어 말하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 특성 연구 - 등급표와 문항유형 중심으로
- Integrative Motivation Revisited: The Case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 Validity of Using Text-Based Online Chat for Error Analyses
- Degree Adverbial Collocations in the Korean EFL Learners’ Writing Corpus - With a Focus on Intensifi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