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교사양성과정
이용수 1,653
- 영문명
-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the US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양성관(Yang Sung-Kwa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77~10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6.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교사양성 과저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사양성 개편에 시사점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과 텍사스 주의 교사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을 기술한 뒤, 대표적인 교사양성 경로인 대학교 학부과정의 전통적 교사양성과정과 같은 지역에 소재한 ‘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임시 교사양성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중심의 교사양성 과정에서는 유초등교사와 중등교사 자격 프로그램 모두 전공학과에서 소정의 교육을 마친 자가 마지막 3-4학기 동안의 교직이론과 실습을 이수하는 방식이었으며, 임시 교사양성과정에서는 교사의 연수를 담당하는 기관에서 17개월간의 단기과정을 개설하여 교사를 양성하였다. 교사부족을 이유로 임시 교사양성 과정을 통해 교직에 입문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 대학의 교사양성에서 사범대학과 다른 단과대학간의 연계 프로그램, 일선 초ㆍ중등학교와 연계를 통한 교육실습, 교사의 기본적 자질을 확인하는 차원에서의 교원임용시험을 중심으로 국내 교사양성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raditional and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exas were analyzed. Undergraduate university-base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provides certification in Early Childhood-4th Grade. middle grades(4th to 8th grade), secondary (8th to 12th grade), and all level early childhood to 12th grad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equence for students pursuing those certificates is the last three to four long semester, typically every semester consisting of 9-12 semester hours of pedagogy courses and 12-14 hours per week in the school. Alternativ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t the Region Education Service Center is a rigorous 17-month, field-based program that integrates theory with practice. Furthermore, a sample individual performance plan and a sample competency and descriptive statements of pedagogy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Early childhood-4th grade for analyzed to illustrat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Based on the cases of traditional and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irst, the growing shortage of well-qualified teachers in the US leads the increase of alternative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brief, inexpensive, convenient, and practical. which the very merits are likely to reduce the resources available to provide the training and support the program expected. Second, the collaboration between college of education and other colleges in the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program may be considered a way to improv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Korea. Third, another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aiming to develop school practice and individual practice of new teacher candidates, provides a variety of implication to field experience and student teaching in Korea. Fourth,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Texas focusing on teacher responsibilities aligning with the stage of child development provides an appropriate example to redesign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Korea.
Based on the cases of traditional and alterna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irst, the growing shortage of well-qualified teachers in the US leads the increase of alternative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brief, inexpensive, convenient, and practical. which the very merits are likely to reduce the resources available to provide the training and support the program expected. Second, the collaboration between college of education and other colleges in the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program may be considered a way to improve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in Korea. Third, another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 aiming to develop school practice and individual practice of new teacher candidates, provides a variety of implication to field experience and student teaching in Korea. Fourth,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Texas focusing on teacher responsibilities aligning with the stage of child development provides an appropriate example to redesign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Kore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교사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Ⅲ. 전통적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Ⅳ. 임시 교원양성 프로그램의 사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교사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Ⅲ. 전통적 교사교육 프로그램 사례
Ⅳ. 임시 교원양성 프로그램의 사례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