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ㆍ여 대학생의 지속운동이 혈중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effects of endurance exercise on antioxidant enzymes of male and female general student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 저자명
- 장명재(Chang Myong-Jei) 허정행(Huh Jeong-Haeng)
- 간행물 정보
- 『체육학논문집』제28집, 275~2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0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ercises on activation of antioxidant enzymes(glutathione, GPX and GR) activity. For this purpose, general students(8 male and 8 female) of K university were volunteered up to be tested to a treadmill running with a fixed load amounting to 70% of VO2max(maximal oxygen uptake) until their entire physical all-out. Subjects" blood sampling was tested rest, immediately after, recovery 10 and 20 minutes after the exercise to be examined.
1.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the highest glutathion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 10 minute of recovery, while the greneral female student group indicated the highest glutathione concentration in rest(before exercise).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glutathione concentration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2.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and female student group showed the highest GPX activity in rest(before exercise). while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GPX activity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3.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the highest GR activity significantly in 20 minute of recovery, while the greneral female student group indicated the highest GR activity in 10 minute of recovery.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GR activity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In conclusion, this research means that general male student group presented higher level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Specially, the general male students were rapidly decreased lactic acid and free-radical after acute high-intensity exercise than the general male students.
Future studies may consider exercise type, sex, and age. Specially, further research may be consider free-radical action and antiuoxidant enzymes following to exercise intensity.
1.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the highest glutathion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 10 minute of recovery, while the greneral female student group indicated the highest glutathione concentration in rest(before exercise).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glutathione concentration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2.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and female student group showed the highest GPX activity in rest(before exercise). while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GPX activity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3.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the highest GR activity significantly in 20 minute of recovery, while the greneral female student group indicated the highest GR activity in 10 minute of recovery.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general male stud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GR activity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In conclusion, this research means that general male student group presented higher level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significant than general female student group. Specially, the general male students were rapidly decreased lactic acid and free-radical after acute high-intensity exercise than the general male students.
Future studies may consider exercise type, sex, and age. Specially, further research may be consider free-radical action and antiuoxidant enzymes following to exercise intens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氣的 활용을 통한 춤의 신명적 체험에 관한 연구
- 한국 초기 근대 무용 연구 - 조택원ㆍ최승희의 작품을 중심으로
- 무용치료 프로그램 훈련이 사회심리 및 정서표현에 미치는 영향 -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 골프선수와 일반인의 견관절 등속성 근력에 관한 비교 연구
- 대기업의 스포츠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스포츠 이벤트 전략을 중심으로
- 전공별 무용 상해에 관한 조사 연구
- 예술전공(무용, 음악, 미술) 대학생과 비예술전공 대학생의 성격 특성에 관한 연구
-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와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등속성 근력 비교 연구
- 경희대학교 체육학 논문집 투고 규정
- Weight Training과 Circuit Weight Training이 심폐기능 및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 參與를 通한 靑少年들의 人性形成 比較硏究 -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중학생을 대상으로
- 흡연이 대학교 테니스 선수들의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 운동이 정신지체 성인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야구선수의 견관절, 주관절, 슬관절 요추부에서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 남ㆍ여 대학생의 지속운동이 혈중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 구한말 근대스포츠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運動選手 出身敎師와 非 運動選手 出身敎師의 敎授 行動에 關한 硏究 - 京畿道 中ㆍ高等學校 體育 敎師 對象으로
- 시각장애 중학생들의 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에 관한 연구
- 운동수행시 혈청효소 변화 분석
- 단기간 혈액투석 전 운동이 만성신부전 환자의 건강요인에 미치는 영향 -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 도마 Cuervo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 단축성ㆍ신장성 수축을 중심으로
- Weight Training과 Plyometric Training이 순발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20세 전ㆍ후의 남자대학생과 육군장병들의 신체구성 및 생활습관에 관한 비교 연구
- 花郞徒의 體育思想과 體育活動에 關한 硏究
- 스키상해에 대한 연도별 실태조사 - D 스키장을 중심으로
- 관상동맥 질환자를 위한 cycle ergometer exercise와 treadmill exercise의 적정 운동강도
- 한국 프로농구 선수들의 컨디셔닝에 관한 조사 연구
- Interval Weight Training 이 체지방량 및 신체밀도에 미치는 영향
- 창작무용의 사상적 태동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