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혁신 유형과 기술혁신 영향요인에 관한 상황론적 연구
이용수 1,064
- 영문명
- Organizational Contingency Factor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n Telecommunications Industry : A Contingency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송상호(Sang Ho Song)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4권 제2호, 177~21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7.0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정보통신산업을 대상으로 급진적 기술혁신과 점진적 기술혁신 두 유형 간에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기업환경, 자원역량, 기업전략, 최고경영자특성, 조직문화 등)들이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진적 기술혁신은 소비자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고, 경쟁기업 간에 비가격 경쟁이 높을 때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비교적 넓은 제품 시장 범위 내에서 강력한 마케팅 능력을 통한 마케팅 차별화 전략을 선호한다. 반면에 한정된 시장에서 집중하는 집중화 전략과는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급진적 기술혁신은 복잡하고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처해 있으며, 비교적 정부의 역할에 대하여 높은 중요성을 부여한다. 뛰어난 연구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기술혁신에 의한 차별화 전략을 선호한다. 반면에 원가주도전략과는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최고경영자는 혁신적인 경영스타일을 선호하며, 기술정보 획득을 위한 전문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위험을 선호하는 혁신적인 조직 문화 및 성과에 따른 보상을 중시하는 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진적 기술혁신은 소비자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고, 경쟁기업 간에 비가격 경쟁이 높을 때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비교적 넓은 제품 시장 범위 내에서 강력한 마케팅 능력을 통한 마케팅 차별화 전략을 선호한다. 반면에 한정된 시장에서 집중하는 집중화 전략과는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급진적 기술혁신은 복잡하고 급변하는 기술환경에 처해 있으며, 비교적 정부의 역할에 대하여 높은 중요성을 부여한다. 뛰어난 연구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기술혁신에 의한 차별화 전략을 선호한다. 반면에 원가주도전략과는 부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최고경영자는 혁신적인 경영스타일을 선호하며, 기술정보 획득을 위한 전문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위험을 선호하는 혁신적인 조직 문화 및 성과에 따른 보상을 중시하는 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ntingency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environment, resource capabilities, business strategy, CEO"s management styles, and organization culture on the degre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 hypothesize that the effects differ according to the two typ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radical product innovation or incremental productinnovation--and test the hypotheses with data from Korean telecommunication industr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incremental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stomer preferences, price capability and market differentiation strategy. Focus strategy, however, is negatively related to incremental product innovation. Second, the degree of radical product innov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chnological environment, government support, R&D capability, innovation strategy, innovative management style and innovative culture. Cost leadership, however, is negatively related to radical product innovation.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기술혁신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연구조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 표
ABSTRACT
Ⅰ. 서론
Ⅱ. 기술혁신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연구조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측정변수 간의 상관관계 표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