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 조기선별검사 개발: 교육과정중심측정 원리를 반영한 수감각검사
이용수 751
- 영문명
- Development of Early Screening Test for Students with Mathematics Difficulties: Curriculum-Based Measurement of Number Sense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애화(Kim Ae-Hwa)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0권 제4호, 103~13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3.01
4,1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 조기선별검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예비검사를 실시하는 데 있다. 국내외 선행 문헌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개발된 후 전문가 회의를 거쳐 수정.보완 된 본 조기선별검사는 다음의 1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뛰어세기, 거꾸로 세기, 수읽기, 수의미, 수량변별, 빠진 수 넣기, 덧셈구구, 뺄셈구구, 숫자 바로 따라하기, 숫자 거꾸로 따라하기, 색깔 규칙찾기, 숫자 규칙찾기. 예비검사는 3월에 총 198명(유치원생 106명과 초등학교 1학년생 92명), 6월에 총 146명(유치원 생 73명과 초등학교 1학년생 7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기선별 검사의 하위영역과 학년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본 조기선별검사가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을 조기에 선별하는 데 있어 유용한 검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field of learning disabilities emphasizes on reliable and valid measures that can predict which students are likely to have learning difficu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search-based, early mathematics measures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12 experimental early mathematics measures based on the principle of number sense and curriculum-based measurement were developed: skip counting, counting backward,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meaning, quantity discrimination, missing number, addition, subtraction, digits forward, digits backward, color pattern analysis, number pattern analysi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iability(i.e., alternate form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concurrent and predictive validity), kindergarteners and first grade students were tested.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measures had promising evidence of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Implications for practice a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감사의 글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감사의 글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중심의 여가기술교수가 정신지체인의 볼링장 이용하기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 장학활동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석ㆍ박사 논문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ICT활용기술 중요도 인식과 실제 활용능력간 관계
- 3-6세 한국아동과 일본아동의 음운프로세스 특성과 자음정확도 비교
- 장애의 이론 모델과 실천 모델의 전환에 입각한 「장애인복지법」 개정 방향
- 수학부진아동들의 수학수업 효율화를 위한 담화형태 적용과정 연구 -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정신지체아의 인지요인과 읽기기능의 관계 - CHC 지능이론을 중심으로
-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 - 강원,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인공와우 착용아동의 휴대전화 사용 시 말 지각 능력 평가
- 정신지체 아동의 명료화 요구에 대한 반응
-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질 기준 연구
- 학회지 게재신청논문 심사규정 외
- 수학 학습장애 위험학생 조기선별검사 개발: 교육과정중심측정 원리를 반영한 수감각검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