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통 업태별 소비자 선택 - 대형할인점과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

이용수  368

영문명
Consumers' Choice Among Different Types of Retailing Stores - Emphasis on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nd Classical Small Size Retailing Stores -
발행기관
한국동서경제학회
저자명
이동수(Lee Dong Soo)
간행물 정보
『한국동서경제연구』한국동서경제연구 제17집 제2호, 35~5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유통산업은 1996년 유통시장 개방을 전후하여 다양한 신업태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신유통업태는 가격과 쇼핑환경등의 변수로 소비자의 후생증대나 국내 유통산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 변화하고 있는 소비자의 쇼핑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소비활성화를 가져오는 등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고 있지만, 그러나 반대급부로서 기존 대표적 유통업체인 백화점이나 재래시장 및 동네 슈퍼마켓등의 소형 유통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되어 전통 유통산업의 점유율을 잠식함으로써 갈등을 빚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산업의 구조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대형할인점과 침체일로에 있는 재래시장에 대하여 소비자 행태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청주지역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함으로써 유통산업의 구조변화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주된 연구결과에서 소비자들은 대형할인점이 주차시설등 쇼핑 부대시설, 쇼핑환경의 편리성및 제품의 신뢰성등에 있어서 재래시장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단위 쇼핑에 대한 적합성과 A/S 및 판매서비스, 그리고 소비자의 다양성등에 있어서도 재래시장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서 향후 재래시장 관련 정책은 펀리한 쇼핑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소비자의 니즈에 부응하는 실질적인 정책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Various new types of retailing stores have emerged since 1996 when Korean retailing market opened for the global markets. These new types of retailing stores contribute to increase the consumer welfare and the efficiency of Korean retailing industry. Also they encourage consumers' activity by satisfying their shoping needs whinc change drastically these days. But on the contrary these new retailing markets discourage classical Korean retailing stores which are small and lack of shopping infrastructur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nd the classical small size retailing stores which gather in so called "Je Re Market". These two types of retaling stores generally represent the drastic changes in Korean retailing industry in the sense that the changes in their growth rates represent current changes of Korean retailing industry. For this task this paper includes theoretic consumer model to explain recent changes of Korean consumer behavior which is crucial for the recent changes in Korean retailing industry. Also this paper contains the survey results of consumer behaviors around Cheong Ju City. The major results in this paper are ; 1)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ttract more various consumers in age, sex, and family shoping, 2) the large scale discount stores are not regarded price competitive for consumers but competitive in product variety, product credibility and services and shoping infrastructur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소비자 모형을 통해 본 유통업태별 소비자 선택
Ⅲ. 유통업태별 소비자 행태에 대한 실증분석
Ⅳ. 결론
<부록>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수(Lee Dong Soo). (2006).유통 업태별 소비자 선택 - 대형할인점과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경제연구, 17 (2), 35-57

MLA

이동수(Lee Dong Soo). "유통 업태별 소비자 선택 - 대형할인점과 재래시장을 중심으로 -." 한국동서경제연구, 17.2(2006): 35-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