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ory of Loss of Chance” in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김민규(Kim Min-Kyu)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재산법연구 제22권 제3호, 291~33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0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t has been long discussed as to whether the merit of the loss of chance should be recognized in the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This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of loss of chance and the related cases, especially in Korea and Japa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
(1) The theory of loss of chance is not confined to the causation.Since the medical malpractice litigation is concerned with scientific evidences, it makes it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negligence of doctors and causation between the negligence and injury. Therefore, the theory of loss of chance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obstacles to these negligence and causation.
(2) The theory of loss of chance is one of the attempts to loosen the burden of proof and expand the legal function of consolation money. That is, the Supreme Court in Korea has put the ‘passive burden of proof’ on the aggrieved patients. Also, the adjusting and punitive function of the consolation money has been recently reinforced. These trends provide the better environment to establish the theory of loss of chance.
(3) The biggest problem in the theory of loss of chance is whether the right to proper medical practice can be established as cause of action. The theory of loss of chance does not result from the doctors’ medical obligation but from the negligence of general medical practices such as their examination, diagnosis, treatment or operation which can not be easily identified, or are difficult to prove the causation between the negligence and injury.
Therefore, since the legal basis to settle down the theory of loss of chance has been matured, its future development is notable.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우리나라의 판례 및 학설
Ⅲ. 일본의 판례 및 학설
Ⅳ. 검토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새만금 매립지 관할결정과 체계정합적인 ‘새만금항 신항’의 관할귀속결정 방안
- 지방재정 운용의 자율성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법의 평가와 입법 과제 - 지방자치단체의 과세권을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 사무의 관리·운영 체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