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ubstance and nature of medical service contract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김병일(Kim Byoung-Il)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재산법연구 제21권 제2호, 223~264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2.01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days,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ient and a physician has been considered as contract. But Korea's Civil Code doesn't prescribe that contract for medical service is formal contract. And when patient sue against physician because of medical malpractice, there is little differences in burden of proof between contract liability and tort liability. Even if patient claim damages against physician on the ground of breach of a contract, courts have scarcely accepted the right for consolation on that.
A medical service contract is similar to a mandate contract. Generally the aim of the medical service contract is to apply the medical technique to a patient. But medical service contract isn't the mandate contract. Also medical service contract differ from a common bilateral contract aspects of that not arisen a matter of the exception on adimpleti contractus and the liability of risk. So I think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medical service contract as a separate form of a contract.
The draft amendment of Civil Code doesn't include the provision relating to medical service. So in order to apply theory of contract to medical service, the provision of mandate contract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obligation, Mandate contract, Standard act of health and medical, Medical act etc.- must be applied by analoging.
But there are limits in applying by analoging the provision relating to trust contract. And afterward medical technique will be improved and relationship of medical service can be changed. So I think it is necessary to make a special act for this changing environment of medical service for the patient.
목차
Ⅰ. 序言
Ⅱ. 醫療契約의 本質
Ⅲ. 醫療契約의 法的 性質
Ⅳ. 醫療契約에 대한 委任契約規定의 類推適用
Ⅴ.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債務者義務의 二元構造-大判 1997. 8. 22, 97다13023을 契機로 되돌아 본 "債務로서 保護義務"-
- 계약해제의 요건-비교법적 법원리를 중심으로-
- 소프트웨어 보호규정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 국제적 기업결합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독일 해제법의 쇄신위
- 附錄
- 形成判決의 效力 序說
- 獨逸環境責任法의 基本構造와 主要內容
- 민법 제2편(물권)의 개정
- 選定當事者의 適用範圍와 選定要件
- 정부의 "민법중개정법률안"의 평가: 민법총칙 중 法人法을 중심으로
- 醫療契約의 本質과 法的 性質
- 민법 채권편의 개정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법무부 공고 제25호 민법중개정법률(안) 입법예고를 중심으로-
- 가해자불명의 불법행위-분할책임의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