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nglish-only Education Movement in the U.S.: Focusing on Proposition 227
이용수 40
- 영문명
- English-only Education Movement in the U.S.: Focusing on Proposition 227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Jun-Eon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12권 1호, 149~1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ark, Jun-Eon. 2004. English-only Education Movement in the U.S.: Focusing on Proposition 227.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This paper analyzes the recent English-only movement preval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ocusing on Proposition 227, which was enacted as California Educational Code in 1998. Seemingly, the legislation of 227 is considered a victory of pro-English monolingual activists, who have propagated their anti-bilingual sentiment throughout the nation since the 1980s. Advocates of English-only education maintain that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do much harm to the limited English proficient students by obstructing the development of English proficiency, whereas advocates of bilingual education rebut this argument as groundless and misleading. Unless Proposition 227 is overturned by California voters, the educational law is expected to exert its legal power in oppressing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that have been appraised as beneficial to the education of ethnic minority students in the stat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What is Proposition 227?
Ⅲ. Opposing Views on Language Education for LEP Students
Ⅳ. Bilingual Education Camp
Ⅴ. Evalua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ition 227
Ⅵ. Fairness Issue in Effectiveness of Bilingual Education
Ⅶ.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nglish-only Education Movement in the U.S.: Focusing on Proposition 227
- 아파트 이름의 사회적 의미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분석
-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cs)의 이론과 전개
- 사회언어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 Backchannels as Achievements of Social Interaction in Korean Conversation
- 중국 조선족의 언어전환에 관한 연구: 흑룡강성 하얼빈시 성고자진의 조선족 공동체를 중심으로
- A Conversation Analysis of Korean Sentence-Ending Modal Suffixes -ney, -kwun(a), and -ta: Noticing as a Social Action
- 광고언어에 나타난 현대인의 의식 문화
- 한국사회언어학회 정관 외
- 不滿表現のストラテジ-に關する韓國,日本,オ-ストラリア大學生の對照硏究
- 곡용과 활용의 어간재구조화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나주 지역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