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atistical Survey on Determination of Custodian Cases after Divorce in the Busan District Court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박정기 김연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가족법연구 제17권 2호, 25~5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2.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re than 145 thousand couples have divorced in Korea in the year of 2002. About 122 thousand couples, i.e. 83.8% of them left each other through agreements in front of judges, and the rest through law suit. In fact, about a half of the couples who go to the court for divorce suit, agree divorce in the mediation process before action. That means about 22 thousand peoples finish their marriage angrily. In this situation, we have to worry about their children, are those parents think over their children's happiness?
In this point of view, we surveyed how people are considering their children when they are on the divorce process. For the convenience of survey, we limited the materials to the files of the Busan District Court of three years from the year of 1999 to 2001. They file 4,183 suits in the year of 2001 in the Busan District Court. That is about 8.4% of whole country's cases.
We picked 541 cases freely with the kind help of the Court authority. We have found that only 19.4% of divorced couples considers about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The number of unconsidered children is up to 156 from 105 cases. In other cases, determination of custodian and the person who exercise parental power be done by the court. But in those cases joint custody was not found. We found that in almost all the cases father or mother was determined as custodian and the person who exercise parental authority.
As a conclusion, we have become to understand that still left old fashioned tradition. In some cases it is found that parents prefer sons than daughters. We think that much more effort is needed to make a real-equal and welfare country. In that country our children would be grown up to be happy persons.
목차
Ⅰ. 서언
Ⅱ. 이혼사건과 친자관계사건의 조사방법
Ⅲ. 이혼사건에 나타난 친자관계 사건의 동태
Ⅳ.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事實婚과 婚外同居에 關한 一考: 재산상 보호를 중심으로
- 일본에 있어서 아동인권의 현황: 일본의 里親制度를 중심으로
- 日本家族法の步んだ道: 敗戰後の立法を中心に
- 혼인취소의 효과
- 子의 共有財産의 擔保提供과 利害相反行爲: 대법원 2002.1.11 선고 2001다65960판결(공2002.473)
- 일본 가족법의 자취: 제2차 세계대전이후의 立法을 중심으로
- 자필증서유언방식에 관한 제문제
- 이혼 후의 친권행사자 및 양육권자의 결정에 관한 실태조사연구: 부산지방법원 가정지원의 경우를 중심으로
- 일본 민법상 임의후견계약제도
- 독일법상의 직계혈족부양에 관한 고찰
- 中國과 臺灣 兩岸 關聯 相續問題의 法的 處理
- 자녀복리를 중심으로 개정된 독일의 친자관계법: 구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