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Analysis of Predictors of Teacher Efficacy in the Context of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재활과학회
- 저자명
- 강창욱(Kang Chang-Wook) 김혜정(Kim Hye-Jeong)
- 간행물 정보
- 『난청과언어장애』제26권 제1호, 3~1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6.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job-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efficacy in the context of special education.
315 teachers of special schools were asked to respond the Teacher Efficacy Scales for Special and the questionnaire for surveying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and job related environments. A serie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research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all teachers' job 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s explained significantly the variance of teacher efficacy(R2=.221. F=8.62: p<.OOl), b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R2=.026. F=2.07: p>.05).
The second.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controll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ll job-related environments and teacher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teacher efficacy is situation-specific perception rather than
personality traits.
The third, controlling the effects of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eacher efficacy, the strongest effects were found in the category of 'working conditions'(R2= .173, F=21.73: p<.001), followed by 'human environments'(R2=.1l2, F=9.73: p<.OOl), and 'burdens of working'(R2=.036, F-3.86: p<.Ol).
Finally, all three variable categories of teachers' job related environments have consistently more effects on 'personal teacher efficacy' than on 'teaching efficacy'. These findings imply that personal teacher efficacy is more situation-specific than teaching efficac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해석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화를 통한 언어지도가 조음개선에 미치는 효과
- 치매 노인들의 담화 특성 연구
- 세대간 통합을 위한 여성노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저학년의 우리말 표준 콧소리 비율 연구
- 장애아동 부모의 수동적 태도에 대한 유교 문화의 영향 분석
- 인공와우(CI) 이식 아동의 재활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특수학교 교사의 효능감 관련 변인 분석
- LiP(Listening progress Profile)을 이용한 인공와우 아동의 초기 청능 발달에 관한 연구(1)
- 스크립트활동이 인공와우 아동의 언어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읽기 지도 중 신문활용 교육을 통한 청각장애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심도, 건강실천행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노인성 난청인의 의사소통 평가 척도 내용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 Synergistic Effects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and Mindfulness Training on Pain and Self-Reported Mindful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 Scoping Review of Depth-Sensing Technologies for Balance and Gait Assessments in Older Adults: Implications for Fall Prevention in Rehabilit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