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omparative Literature on Lee Yongak's Early Poetry and 『Poetry and a theory of poetry』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양혜경(Yang Hae-Kyung)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일본어문학 제26권, 249~2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8.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irst, I compared Lee Yongak's early poetry and the
works of Gitagawahuyuhikko, Anjaihuyue, Yosidaitseui who
are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Poetry and a theory of
poetry』 which is Japanese literary magazine, to examine
their influence to each other. Instead of examining the formal
aspects of their works, I tried to find out if they have
common features or differences on the content.
Examining Lee's early poetry based on Gitagawahuyuhikko’s
poetic characteristics, I can find important common feature which
is his intention to enlarge mannerism and refinement of language
through image making process. While Gitagawahuyuhikko’s
image presentation focused on mysterious meaning convey
and criticising civilization, Lee emphasized on the realistic
aspect to lead topic.
Second, I would like to see formal aspect considering visual
effect which found in Yosidaitseui’s works and prevailed in
Japan at that time. Like Yosidaitseui, Lee also emphasized
on the visual effects and arranged verse considering them. I
think this is one of his attempt based on modernism and
formalism which are introduced by himself as new poetic
spirit.
Finally, he pursued prose poetry. Anjaihuyue introduced
prose poetry to suggest topics based on realism. He more
focus on realistic aspect than Lee, however, he winded up
his poetry moving to fantastic world. The foundation of this
characteristic is the mix of prose poetry and surrealism. On
the other hand, Lee unified images through sensuous
representation and reception of objects. In addition, he
emphasized on the prose poetry to cope with conflict reality.
But he excluded fantastic atmosphere appeared in Anjaihuyue’s
poetry.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Anjaihuyue and Lee's
prose poetry. Nevertheless, they still shared in common
reflecting reality through the form of prose poetry. Such
intention of prose poetry starts from the awareness which is
to reflect the reality.
목차
1. 머리말
2. 국내 시단과 『詩と詩論』의 영향 관계
3. 이미지 조형화 의식
4. 시각적 효과를 노린 문자 배열
5. 이야기 형식을 원용한 산문시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우익 : 단체.운동.사상에 대한 연구-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江戶時代の朝鮮通信使と日本文學
- 『ホウガイイ』が擔う意味
- 『朝鮮偉國字彙』의 日本語와 日本漢字音의 表記에 대하여
- 日本語敎育と環境適應の相互作用について-實踐事例を加味した考察-
- 淨瑠璃『大功艶書合』考-『貴田孫兵衛(毛谷村六助)』と朝鮮の女性をめぐって-
- ‘우록리 한일우호촌’ 조성의 필요성과 그 구체적 방안
- 이용악의 초기 시와 『詩と詩論』의 비교문학적 고찰
- 中世日本社會における高麗との關係
- 後置詞の用法に關する日ㆍ韓對照硏究-『に對する』『についての』『に關する』と 『에 대한』『에 관한』の意味ㆍ用法の考察-
- 比賣碁曾社の神に關する一考察
- 이노우에 미츠하루의 초기 작품에 나타난 조선인
- 일제강점기의 하이쿠 연구-『朝鮮俳句一万集』을 중심으로-
- 證據性判斷を表す副詞について
- 日本語複合動詞의 類型分析-韓國語對應樣相을 中心으로-
- 아베코보(安部公房) 문학의 신화적 상상력과 크레올성
- 일본의 의원내각제와 수상의 리더십-일본형 대통령제의 모색-
- 『門』論
- 橫光利一『機械』試論-『私』という他者からのまなざし-
- 中古漢語a系韻母に於ける韓日漢字音について-中心母音の歷史的相違を中心として-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