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436
- 영문명
- Multiple Role Commitment and Its Effectiveness for Managerial Women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강혜련(Hye-Ryun Kang) 윤미자(Mi-Ja Yoon)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Vol.28 No.1, 55~8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금까지 여성의 다중역할 연구가 주로 갈등적 관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다룬 것에 반해 본 연구는 다중역할 수행에서 얻는 정신적 건강과 학습 기회 제공 및 자원 증대 둥의 긍정적 효과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경력개발의 일정 단계에 오른 여성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다중역할 몰입이 개인의 심리적 안녕과 조직에서의 관리능력 개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여성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우리나라 여성의 다중역할이 직장역할, 가정역할, 친구역할 및 공동체 역할로 구성되었고, 아울러 이러한 역할 수행을 통해 직장생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개인적 자원의 증대를 확인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143명의 여성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여성 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관리능력에 대한 자기평가와 상사, 부하 및 동료에 의한 다면평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 정도가 높을수록 관리능력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직장 역할을 통제한 후에도 직장외 영역에서의 다중역할 몰입이 관리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ultiple role commitment for managerial women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nagerial competence. To begin with, in-depth interviews for managerial women were conducted to obtain the types of multiple roles and its benefits for career women in Korea. The result showed that women managers had non-work roles, such as family roles (e.g. parent, spouse, daughter, etc.), friend roles, and community member roles as well as occupational roles. These roles were expected to provide them with psychological benefits, communication skills, social support from networking, and leadership skills that enhance effectiveness in the management role.
The results of empirical data indicated that multiple role commitment was not positively related to self esteem for managerial women while non-work multiple role commitment was somewha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However, commitment to multiple role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anagerial competence for career women. The higher the level of commitment for both work and now-work roles, the higher the managerial skill ratings both by self and others(peer, subordinate, and superior), Furthermore, the positive effect of the commitment of non-work roles for manager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studying the issue of multiple role commitment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 및 결과
5.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균형성과표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국내 제조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직장내 승진에 대한 연결망 효과의 연구
- 리더십 類型이 組織沒入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조직 신뢰를 매개변인으로-
- 여성관리자의 다중역할 몰입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 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OCB)Model and Comparison of The Perceived OCB between Small-Medium Enterprises(SME's) Employees and The Large Enterprises' One
- 공기업 조직구성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리더신뢰
- 조직변화에서의 협력과 감정
- 조직공정성, LMX의 질 및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서비스 지향적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기업의 지식경영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