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기부에 관한 연구-기부행동과 기부노력에 대한 분석
이용수 1,070
- 영문명
- A Study on Online Giving An Analysis of Participation and Philanthropic Effort
- 발행기관
- 한국비영리학회
- 저자명
- 강철희(Chul-Hee Kang) 김유나(Yu-N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비영리연구』제2권 제1호, 123~164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4.01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민간 자원의 중요한 한 축으로 기능하는 일반 시민들의 기부 활동과 관련하여 온라인 기부(online philanthropy)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거의 진행되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기부 사이트인 D사이트 회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온라인 기부행동과 기부노력에 관해 분석해 보고자 했다 기부행동 및 기부노력과 관련성을 갖는 요인을 기존의 오프라인 기부활동 및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를 배경으로 구성하였다 즉 경제학적(항상소득가설), 사회학적(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사회학습이론), 심리학적(자기확장이론) 접근에서 제시되는 요인들을 활용하여 기부행동 및 기부노력과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온라인 기부사이트 회원들의 기부행동 즉, 기부참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본 결과, 심리적 요인인 비영리조직에 대한 태도변수가 기부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직업, 경제적 요인 중 미래 재정상황에 대한 태도, 사회적 요인 중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니타났다 한편 이들의 기부노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선형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부행동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심리적 요인인 비영리조직에 대한 태도변수가 기부노력에 가장 큰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적 요인인 가구소득과 미래 재정상황에 대한 태도변수가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민간자원을 온라인을 통해 모금하는 상황과 관련하여 이러한 결과가 갖는 함의를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기부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하여 기부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고 후속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영문 초록
Online philanthropy i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rising as a new mechanism for citizen's participation for fund-raising of nonprofit organizations However, knowledge about online giving is rare due to lack of empirical research about this topic. First,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donors of the site for online giving Second,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for online giving and the individual online giving effort(online giving/individual income)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mong the participants for the site, the percents of female, students, professionals, higher education, 20s and 30s in age, and middle income were relatively higher, the percents of volunteering experiences, religious activities, and altruistic motivation were also higher, and positive attitude abou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nonprofit organizations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donors for the site ha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participants except for the followings: the percent of female were similar to that of male, and trust about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nonprofit organizations were relatively high. In annual amount of online giving, the mean was 114,954 Won and median was 30,000 Won.
Third, up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articipation for online giving were most strongly predicted by trust about nonprofit organization(+), utilities of nonprofit organization(+), profession-professionals(+), perception about future financial
status(+), and volunteering experience(+)
Fourth, up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dividual online giving effort were most strongly predicted by trust about nonprofit organization(+), perception about future financial status(+), and family income(-)
This paper contributes to promoting understandings about individuals' participation for online giving and individual online giving effort in Korea.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for online giving and directions of research concerning individual online giving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정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실천적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Application and Possibilities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Constitution Theory for Beauty and Health Content Development
- Effectiveness of Cosmetics Containing Wild-Simulated Ginseng Ginsenoside for Activating Facial Skin
- The Effect of Toenail Beauty Care Behavior using Reverse Pinching Technique on Customer Stress and Self-Esteem : Focusing on a Case Study of Problematic Toenails Ca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