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무와 한성준에 대해 깊이 알기(하)
2024년 12월 23일 출간
국내도서 : 2024년 12월 23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1.94MB)
- ISBN 9791139223392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https://contents.kyobobook.co.kr/sih/fit-in/458x0/pdt/9791139222944.jpg)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1. 1930년을 맞이한 무용계의 움직임
- 최승희의 창작무용 제1회 공연회(1930년 2월)
2. 1930년을 맞이한 조선악(朝鮮樂) 관계자들의 움직임
- 조선음률협회의 창립(1930년 9월)
3. 조선음률협회가 시도한 정화(淨化)공연회의 한계
- 조선일보가 주최한 팔도명창대회(八道名唱大會)와 비교해서
4. 조선음률협회의 새로운 시도(試圖)
- 여류명창공연회(女流名唱公演會)
5. 여류명창대회의 각광(脚光) 및 그로 인한 조선음률협회의 균열(龜裂)
6. ‘창극조(唱劇調)’라는 용어가 등장한 의미
7. 최승희의 조선에서의 무용공연에 대한 결산 (上)
- 조선에서 신무용가로 자리 잡은 최승희
8. 최승희의 조선에서의 무용공연에 대한 결산 (下)
- 조선에서 활동하던 신무용가 최승희의 고민과 한계
9. 최승희가 동경에서 한성준을 만났던 이유와 그 의미
10. 조선음률협회의 해체와 조선성악원(朝鮮聲樂院)의 창설
도표 : 〈조선성악원→ 조선음악연구회→ 조선성악연구회〉 변천 과정
11. 조선성악원이 3주도 지나지 않아 와해(瓦解)된 배경
- 조선음악연구회(조선성악연구회의 前身)의 발기·창립 과정
제6편 한성준(韓成俊)의 무용활동의 전개와 결실
1. 한성준에 의한 조선무용연구소의 개설
2. 한영숙이 한성준의 춤 제자로 입문하게 되는 경위
3. ‘한성준의 첫 무용발표회가 1935년에 부민관에서 열렸다’는 지금까지의 인식이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는 이유
4. 한성준의 첫 무용발표회에 대한 단상(斷想)
- 작품은 거의 무용극 형식으로 구성된 것이 아닐까?
5. 한성준의 첫 무용발표회가 실패로 끝난 후의 변화
- 조선음악무용연구회(朝鮮音樂舞踊硏究會)의 창립
6. 1938년의 고전무용대회에서 등장한 ‘태평무’는 1936년에 발표한 「왕의춤」을 명칭만 바꾼 것일까?
그림 : 고전무용대회의 조선음악무용공연회 종목과 출연자
7. 고전무용대회 이후의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공연활동
- 서선순업(西鮮巡業), 남선순업(南鮮巡業)
8. 조선음악무용연구회가 1940년에 펼쳤던 공연들
9. 한성준에게 1941년이란 어떤 의미를 가질까?
10. 1942년 이후에 보이는 한영숙의 공연 활동의 성격
제7편 한영숙의 태평무에는 푸살장단이 왜 들어 있는 걸까?
- 한성준制 태평무의 계승과 발전을 위한 고찰
1. 한성준은 『태평무』의 모태(母胎)가 『왕의춤』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그 말에 담겨 있는 의미는?
2. 한성준이 - 『왕의춤』에 만족하지 못하고 - 태평무를 새롭게 창안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3. 한성준制 태평무는 『왕의춤』과 무엇이 달라졌을까?
- ‘장단도 차자내엇고’라는 한성준의 말에 함축된 의미
4. 강선영의 태평무에서 사용하는 장단 편제(編制)
- 한성준制 2인무 태평무를 그려 보기 위한 검토자료(A)
5. 한영숙의 태평무에서 사용하는 장단 편제(編制)
- 한성준制 2인무 태평무를 그려 보기 위한 검토자료(B)
도표 : 한영숙 태평무의 장단 편제를 분석한 논문 내용
6. 한영숙의 태평무에는 푸살장단이 왜 들어 있는 걸까?
7. 언제 한영숙의 태평무가 온전히 모습을 드러낸 것일까?
8. 한영숙류 태평무의 특징과 전승가치
9. 결어(結語)
(하 권) 【지식창고】
17) 조선에서 신무용가로 활동하던 최승희의 한계
- 일본에 다시 가기로 결심한 이유
18) 한성준의 춤에 대한 역량은 널리 알려졌다
19) 한성준의 춤 제자로 강선영이 입문하게 되는 경위
- 학춤에 관한 강선영의 추억
20)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고전무용대회가 개최된 과정
21) 고전무용대회(古典舞踊大會)가 인기를 끌었던 배경
22) 한영숙의 눈으로 본 일본 및 만주(滿洲)에서의 공연
- ‘고희(古稀)기념집’에 실려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23) 한성준의 작고(作故)가 한영숙에게 의미하는 것
24) 한성준의 태평무에 관해 언급되는 무속무용 유래설의 주의사항
25) 한성준이 1938년에 완성한 태평무는 100여(餘) 종의 다른 창작 춤과 어떤 면에서 다른 것일까?
26) 2인무 형태의 태평무 모습을 그려 보기 위한 출발점
- 태평무에 관한 강선영 선생의 어록(語錄)
27) 한성준이 태평무 의상(衣裳)을 수의(壽衣)로 입었다는 의미에 대해
28) 2인무 형태의 태평무에 담겨 있는 한성준의 생각
29) 무형유산 보호 제도의 변천사
- 무용 종목에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저자의 후기
저자는 2019년 11월에 국가무형유산 태평무(한영숙류) 보유자로 인정받은 인간문화재이다. 일제 강점기하에서 〈조선 춤〉의 존재조차 인식하기 어려울 때 비천한 신분제도의 억압에 굴하지 않고 60 평생을 춤과 장단에 몸을 바치며 우리 전통예술을 지켜 간 전설적인 인물 한성준의 삶을 따라가며 그 시대의 전통예술의 변모양상을 고찰한 것이 상권의 내용이다.
하권에서는 저자가 명고수로 살아오던 한성준이 새삼 무용가의 길을 걷기에 이른 과정을 설명하고, 이른바 대동아전쟁이 한창이던 때에 우리나라가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의 건설을 염원하는 2인무 형태의 〈태평무〉를 창안하게 된 연유를 추론·설명한다. 그리고 한성준의 2인무 태평무에서 ‘왕의 역’을 맡아 춤춘 한영숙(한성준의 손녀)이 해방 후 정립한 홀춤(한영숙류 태평무)에 푸살 장단이 어째서 들어 있는지, 그 특별한 의미에 대해 태평무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작가정보
![](https://contents.kyobobook.co.kr/sih/fit-in/100x125/dtl/author/1000453623.jpg)
〈약력〉
ㆍ이화여대 무용과 및 동 대학원 졸업
ㆍ청주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역임
ㆍ문화재청[現 국가유산청] 문화재위원 역임
ㆍ제85회 전국체전 안무 총감독 역임
ㆍ現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보유자
청주대학교 명예교수
한영숙춤보존회 회장
(사)벽파춤연구회 이사장
〈상훈〉
ㆍ옥조근정훈장 수훈
ㆍ충청북도 문화상 수상
ㆍ대한무용학회 학술상 수상
ㆍ2002 ‘올해의 이화인’ 선정
[이화여자대학교 총동창회]
ㆍ동양일보 선정 2006 ‘올해의 인물’
〈저서 및 논문〉
ㆍ우리 춤을 찾아서(푸른나라)
ㆍ한영숙 「승무」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논문집 제4집]
- 민속무용의 전승방향 모색을 위하여
ㆍ고구려시대 무용고(舞踊考)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제14집]
- 호선무(胡旋舞)를 중심으로
ㆍ味摩之의 伎樂의 재조명(1) [청예논총 제16집]
- 기악의 당초 모습을 복원하기 위하여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