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태평무와 한성준에 대해 깊이 알기(상)

희대(戲臺)의 등장과 전통공연예술의 변모 양상(樣相)
박재희 지음
지식과감성

2024년 12월 16일 출간

국내도서 : 2024년 12월 16일 출간

(개의 리뷰)
( 0%의 구매자)
eBook 상품 정보
파일 정보 pdf (10.48MB)
ISBN 9791139223385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 sam 무제한 이용가능
  • sam 프리미엄 이용가능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시리즈 전체 2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흔히 태평무는 ‘나라의 독립과 태평성대를 염원하는 춤’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그와 같은 말이 막연한 수사(修辭)에 그치고 있는 것 같아 태평무를 창안한 한성준이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떻게 해서 태평무를 창안하기에 이르렀는지를 깊이 연구하고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이 책의 상권을 통해 조선의 전통예술이 시련의 역사 속에서도 그 시대의 부침을 겪으며 변모되어 가는 양상을 지켜보면 우리 근대사의 한 단면을 마주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1910년대에 기생조합이 공연단체로 변모해 가는 과정, 그리고 1920년대에는 서양 무도의 유입과 최승희로 대변되는 신무용의 대두로 우리 전통춤이 빈사 상태가 되어 가는 연예 환경의 변화를 다룬 상권은 하권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우미 역할을 할 것이다.
제1편 서설(序說)

1. 춤의 명칭으로 본 ‘태평무(太平舞)’

2. 이른바 재인청(才人廳) 계열의 태평무에 대한 이해
- 태평무의 유래(由來)에 관한 논의와 관련하여

3. ‘고수50년 한성준 씨(鼓手五十年 韓成俊氏)’
- 1937년 3월 27일 자 조선일보의 Box기사

4. 무동(舞童)놀이와 연희장(演戲場)의 등장

제2편 대한제국의 최초인 실내 극장의 등장과 전통공연예술(傳統公演藝術)의 변모 양상

1. 대한제국에서 최초로 설치된 실내 극장, 희대(戲臺)
- 고종 등극(登極)40년 칭경(稱慶)행사時 수용(需用)次

2. 협률사(協律司)의 등장, 그리고 협률사(協律社)의 출현

3. 협률사(協律社)가 출현한 시기와 그 성격

4. 협률社의 시발점(始發點)은 민유회(民遊會) ?

5. 협률社의 1903년 흥행에서 드러난 실상(實相)
- 협률社는 무엇을 목표로 설립한 걸까?

6. 협률社가 1906년에 갱설(更設)된 배경

7. 갱설(更設)된 협률社(제2기)의 흥행 모습과 그에 대한 사회적 반응

8. 협률社(제2기)의 혁파(革罷) 논란의 추이(推移)

9. 협률社(제2기)가 폐지된 후, 사설(私設)극장의 출현

10. 한성준이 서울에 올라와 생활하기 시작한 시기
- 한성준이 서울에 올라온 계기는 뭘까?

11. 황실극장 원각사(圓覺社)가 개장(開場)된 경위
그림 : 관기들의 자선연주회(1907년 12월) 공연 목록 광고

12. 신연극(新演劇)을 내걸은 원각사(圓覺社)의 실상

13. 원각사(圓覺社)에서의 전통연희 양식(樣式)의 변화

제3편 우리의 전통공연예술이 1910년대에 전개되어 간 양상

1. 한일병합(韓日倂合)이 되기도 전에 관기(官妓)들에게 밀어닥친 변화
그림 : 1908년 9월의 〈기생단속령〉 조문

2. 한성기생조합소(漢城妓生組合所)의 출범(1909년)

3. 한일병합을 전후(前後)로 한 창부들의 활동 양상
- 연극장으로서의 원각사가 사설극장에 미친 영향

4. 한일병합 직후의 연예계(演藝界) 상황은 어떠했나?

5. 단성사에서 ‘강선루(降仙樓) 일행’이 공연한 의의
그림 : 1912년 5월의 단성사 강선루(降仙樓) ‘연예안내’ 광고

6. 단성사에서 ‘강선루(降仙樓) 일행’이 보여 준 공연의 내용과 그 의미
도표 : 단성사 강선루의 공연 종목 및 공연 날짜

7. 공연단체로 변모해 가는 기생조합(妓生組合)
- 광교조합, 다동조합, 시곡기생조합의 결성(1913년)

8. 1915년의 물산공진회(物産共進會)와 여흥(餘興)단체

9. 경성구파배우조합(京城舊派俳優組合)의 등장(1915년)

10. 경성구파배우조합의 활동과 강경수(姜敬秀)의 역할

11. 한남권번(漢南券番)에 모습을 드러낸 한성준

12. 공진회의 전후(前後)로 본 기생조합 간의 경쟁 양상
- 예능인(藝能人)에서 화류계(花柳界)의 여인으로
도표 : 1915년의 물산공진회에서 기생조합들이 공연한 종목

제4편 1920년대의 조선에 일어난 연예 환경의 변화
- 이른바 ‘조선춤’이 빈사 상태가 되어 가는 과정

1. 1920년대에 각 권번(券番)들이 취한 자구책(自救策)
- 4권번/5권번의 연합연주회, 권번의 온습회(溫習會)

2. 서양의 공연예술인 무도(舞蹈)의 유입과 그것이 가져온 사회적 파장(波長)

3. 실종된 강경수의 역할을 이어받은 한성준(韓成俊)

4. 1926년의 석정막(石井漠)의 무용시(舞踊詩) 공연

5. 조선 명창대회(名唱大會)의 성행과 그 의미

6. 신무용가의 길을 밟고 있는 최승희(崔承喜)의 근황

(상 권) 【지식창고】
1) 재인(才人), 그리고 재인청(才人廳)의 성격
2) 재인청 계열의 태평무가 생성된 배경은 뭘까?
3) 갑오개혁(甲午改革)
4) 대한제국(大韓帝國)의 탄생
5) 구한말(舊韓末), 왕실 음악을 관장하던 기관의 명칭
6) 조선시대의 여자 예인(藝人)을 지칭하는 호칭
7) 협률司가 교습하려 한 새로운 음률(音律)
8) 명창 (名唱) 이동백과 고수(鼓手) 한성준의 만남 그리고 강경수(姜敬秀)에 대한 이야기
9) 전통연희 예인(藝人)들에게 원각사 시절이 남다른 이유
10) 구한말(舊韓末)의 관기와 기부(妓夫)의 관계
11) 시곡(詩谷)기생/시곡예기(詩谷藝妓)의 실체
12) 시곡(詩谷)기생의 활약상(活躍相)
13) 기생의 위상(位相)이 저하(低下)된 배경
14) 경성구파배우조합의 활동이 정지된 배경
15) 기생의 춤보다 노래를 더 좋아하게 된 배경
16) 石井漠으로부터 독립한 최승희의 행보(行步)
- 무용연구소 개설(1929년 11월)

저자는 2019년 11월에 국가무형유산 태평무(한영숙류) 보유자로 인정받은 인간문화재이다. 일제 강점기하에서 〈조선 춤〉의 존재조차 인식하기 어려울 때 비천한 신분제도의 억압에 굴하지 않고 60 평생을 춤과 장단에 몸을 바치며 우리 전통예술을 지켜 간 전설적인 인물 한성준의 삶을 따라가며 그 시대의 전통예술의 변모양상을 고찰한 것이 상권의 내용이다.
하권에서는 저자가 명고수로 살아오던 한성준이 새삼 무용가의 길을 걷기에 이른 과정을 설명하고, 이른바 대동아전쟁이 한창이던 때에 우리나라가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 새로운 국가의 건설을 염원하는 2인무 형태의 〈태평무〉를 창안하게 된 연유를 추론·설명한다. 그리고 한성준의 2인무 태평무에서 ‘왕의 역’을 맡아 춤춘 한영숙(한성준의 손녀)이 해방 후 정립한 홀춤(한영숙류 태평무)에 푸살 장단이 어째서 들어 있는지, 그 특별한 의미에 대해 태평무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하는 저자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작가정보

저자(글) 박재희

〈약력〉
ㆍ이화여대 무용과 및 동 대학원 졸업
ㆍ청주대학교 예술대학 학장 역임
ㆍ문화재청[現 국가유산청] 문화재위원 역임
ㆍ제85회 전국체전 안무 총감독 역임
ㆍ現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보유자
청주대학교 명예교수
한영숙춤보존회 회장
(사)벽파춤연구회 이사장

〈상훈〉
ㆍ옥조근정훈장 수훈
ㆍ충청북도 문화상 수상
ㆍ대한무용학회 학술상 수상
ㆍ 2002 ‘올해의 이화인’ 선정
[이화여자대학교 총동창회]
ㆍ동양일보 선정 2006 ‘올해의 인물’

〈저서 및 논문〉
ㆍ우리 춤을 찾아서(푸른나라)
ㆍ 한영숙 「승무」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연구회 논문집 제4집]
- 민속무용의 전승방향 모색을 위하여
ㆍ 고구려시대 무용고(舞踊考)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제14집]
- 호선무(胡旋舞)를 중심으로
ㆍ味摩之의 伎樂의 재조명(1) [청예논총 제16집]
- 기악의 당초 모습을 복원하기 위하여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신간 알림 안내
    태평무와 한성준에 대해 깊이 알기 시리즈 신간 알림이 신청되었습니다.
    신간 알림 안내
    태평무와 한성준에 대해 깊이 알기 시리즈 신간 알림이 취소되었습니다.
    리뷰작성
    •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최초1회)
    • 리워드 제외 상품 : 마이 > 라이브러리 > Klover리뷰 > 리워드 안내 참고
    •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바로보기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
    감성 태그

    가장 와 닿는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해주세요.

    사진 첨부(선택) 0 / 5

    총 5MB 이하로 jpg,jpeg,png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신고/차단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이 글을 작성한 작성자의 모든 글은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문장수집 작성

    구매 후 90일 이내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eBook 문장수집은 웹에서 직접 타이핑 가능하나, 모바일 앱에서 도서를 열람하여 문장을 드래그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P.
    태평무와 한성준에 대해 깊이 알기(상)
    희대(戲臺)의 등장과 전통공연예술의 변모 양상(樣相)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낭독자 모두보기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프리미엄 이용권입니다.
    선물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
    sam 열람권 선물하기
    • 보유 권수 / 선물할 권수
      0권 / 1
    • 받는사람 이름
      받는사람 휴대전화
    • 구매한 이용권의 대한 잔여권수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 열람권은 1인당 1권씩 선물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이 ‘미등록’ 상태일 경우에만 ‘열람권 선물내역’화면에서 선물취소 가능합니다.
    • 선물한 열람권의 등록유효기간은 14일 입니다.
      (상대방이 기한내에 등록하지 않을 경우 소멸됩니다.)
    • 무제한 이용권일 경우 열람권 선물이 불가합니다.
    이 상품의 총서 전체보기
    네이버 책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네이버 책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
    구글바이액션을 통해서 교보eBook
    첫 구매 시 교보e캐시 지급해 드립니다.
    교보e캐시 1,000원
    • 첫 구매 후 3일 이내 다운로드 시 익일 자동 지급
    • 한 ID당 최초 1회 지급 / sam 이용권 제외
    • 구글바이액션을 통해 교보eBook 구매 이력이 없는 회원 대상
    • 교보e캐시 1,000원 지급 (유효기간 지급일로부터 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