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론 제1권
e퍼플
2021년 06월 11일 출간
(개의 리뷰)
(
0%의 구매자)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3.08MB)
- ISBN 9791165699574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 중론(中論) 제1권
중(中)을 관(觀)해야 함에 대(對)한 이론(理論)
중론(中論)은 불교철학(佛敎哲學)의 대표저작(代表著作) 중(中) 하나다. 여기에서 가장 부각(浮刻)되는 주제(主題)는, 현실세계(現實世界)의 언어(言語)에 대(對)한 문제(問題)다.
이러한 언어적(言語的) 문제(問題)들은,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에서 천명(闡明)하였듯이,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의 차원(次元)이니, 공가공비상공(空可空非常空)이라 할 것이다.
때문에 현재적(現在的) 관성(慣性)으로서, 서양문명(西洋文明)의 영향(影響)을 좇아, 영원불변(永遠不變)하는 존재(存在)로서 ‘이데아’의 차원(次元)에서 접근(接近)한다면, 중론(中論)의 논리학(論理學)에 결코 다가설 수 없다.
중론(中論)의 논리(論理)는, 철저(徹底)히 공적(空的) 연기(緣起)의 토대(土臺) 위에서 작동(作動)함을 분명(分明)히 인식(認識)해야만, 중론(中論)에서 논변(論辨)하는 중관(中觀)의 이치(理致)를 요해(了解)할 수 있다.
현실세계(現實世界)의 인간존재(人間存在)로서는 언어(言語)의 영역(領域)을 벗어나서는 진리(眞理)를 표현(表現)할 그럴듯한 방법론(方法論)이 사실상(事實上) 부재(不在)하다. 그래서 21세기(世紀)에 이르도록, 여전히 언어(言語)의 문제(問題)는 해소(解消)되지 못한다.
역사(歷史) 안에서 불교(佛敎) 선종(禪宗)의 경우(境遇), 불립문자(不立文字)나 교외별전(敎外別傳)이나 이심전심(以心傳心) 등(等)을 주장(主張)하며, 언어(言語)의 차원(次元)을 부정(否定)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이 순간(瞬間)에 이르도록, 그런 일탈적(逸脫的) 탈주(脫走)가, 깨달아 득도(得道)한 극소수(極少數)를 넘어서서, 절대적(絶對的) 다수(多數) 범부중생(凡夫衆生)에게서 견성성불(見性成佛)로써 완성(完城)되지는 않는다.
가장 첨예(尖銳)한 현대철학(現代哲學)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解體主義) 역시(亦是) 언어(言語)에 대(對)한 문제제기(問題提起)이다. 하지만 결국(結局) 여전히 인간세계(人間世界)는 언어(言語)의 영역(領域) 안에 있고, 언어(言語)로써 작동(作動)한다.
과연(果然) 인간존재(人間存在)들이 언어(言語)의 차원(次元)을 극복(克復)하고서, 진리(眞理) 그 자체(自體)의 영역(領域)으로 들어설 수 있을까?
언어(言語)의 문제(問題)는, 단지(但只) 묵언(默言)하며 침묵(沈默)하고 묵조(?照)한다고 해서 해결(解決)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인류(人類)는 오랜 실제적(實際的) 체험(體驗)으로써 체득(體得)하고 있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언어(言語)에 매몰(埋沒)된다는 것 역시(亦是), 당최 해결책(解決策)일 수 없다. 그야말로 진퇴양난(進退兩難)의 상황(狀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하략-
중(中)을 관(觀)해야 함에 대(對)한 이론(理論)
중론(中論)은 불교철학(佛敎哲學)의 대표저작(代表著作) 중(中) 하나다. 여기에서 가장 부각(浮刻)되는 주제(主題)는, 현실세계(現實世界)의 언어(言語)에 대(對)한 문제(問題)다.
이러한 언어적(言語的) 문제(問題)들은, 노자도덕경(老子道德經)에서 천명(闡明)하였듯이,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의 차원(次元)이니, 공가공비상공(空可空非常空)이라 할 것이다.
때문에 현재적(現在的) 관성(慣性)으로서, 서양문명(西洋文明)의 영향(影響)을 좇아, 영원불변(永遠不變)하는 존재(存在)로서 ‘이데아’의 차원(次元)에서 접근(接近)한다면, 중론(中論)의 논리학(論理學)에 결코 다가설 수 없다.
중론(中論)의 논리(論理)는, 철저(徹底)히 공적(空的) 연기(緣起)의 토대(土臺) 위에서 작동(作動)함을 분명(分明)히 인식(認識)해야만, 중론(中論)에서 논변(論辨)하는 중관(中觀)의 이치(理致)를 요해(了解)할 수 있다.
현실세계(現實世界)의 인간존재(人間存在)로서는 언어(言語)의 영역(領域)을 벗어나서는 진리(眞理)를 표현(表現)할 그럴듯한 방법론(方法論)이 사실상(事實上) 부재(不在)하다. 그래서 21세기(世紀)에 이르도록, 여전히 언어(言語)의 문제(問題)는 해소(解消)되지 못한다.
역사(歷史) 안에서 불교(佛敎) 선종(禪宗)의 경우(境遇), 불립문자(不立文字)나 교외별전(敎外別傳)이나 이심전심(以心傳心) 등(等)을 주장(主張)하며, 언어(言語)의 차원(次元)을 부정(否定)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이 순간(瞬間)에 이르도록, 그런 일탈적(逸脫的) 탈주(脫走)가, 깨달아 득도(得道)한 극소수(極少數)를 넘어서서, 절대적(絶對的) 다수(多數) 범부중생(凡夫衆生)에게서 견성성불(見性成佛)로써 완성(完城)되지는 않는다.
가장 첨예(尖銳)한 현대철학(現代哲學)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주의(解體主義) 역시(亦是) 언어(言語)에 대(對)한 문제제기(問題提起)이다. 하지만 결국(結局) 여전히 인간세계(人間世界)는 언어(言語)의 영역(領域) 안에 있고, 언어(言語)로써 작동(作動)한다.
과연(果然) 인간존재(人間存在)들이 언어(言語)의 차원(次元)을 극복(克復)하고서, 진리(眞理) 그 자체(自體)의 영역(領域)으로 들어설 수 있을까?
언어(言語)의 문제(問題)는, 단지(但只) 묵언(默言)하며 침묵(沈默)하고 묵조(?照)한다고 해서 해결(解決)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인류(人類)는 오랜 실제적(實際的) 체험(體驗)으로써 체득(體得)하고 있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언어(言語)에 매몰(埋沒)된다는 것 역시(亦是), 당최 해결책(解決策)일 수 없다. 그야말로 진퇴양난(進退兩難)의 상황(狀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하략-
▣ 목차
◈ 중론(中論) 제1권
중(中)을 관(觀)해야 함에 대(對)한 이론(理論)
중론(中論) 서문(序文)
1. 중론(中論) 500개(個) 게송(偈頌)은 용수보살(龍樹菩薩)이 지은 것이다
2. 중(中)은 진실(眞實)을 비춤이고, 논(論)은 말을 다함이다
3. 범부(凡夫)의 집착(執着)하는 미혹(迷惑)은 전도(顚倒)된 견해(見解)에서 생(生)겨난다
4. 장주(莊周)의 무리로 하여금 대승(大乘)에 대해 문답(問答)하는 일이 없게 하였다
5. 청목(靑目)의 번역본(飜譯本)은 오류(誤謬)가 많다
6.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본(飜譯本)도 문장(文章)이 매끄럽지는 못하다
7. 백론(百論)은 밖을 다스리고, 중론(中論)은 안을 깨끗이 한다
8. 대지도론(大智度論)은 깊고 넓으며,십이문론(十二門論)은 정밀(精密)하다
제1장. 관인연품(觀因緣品)
인(因)과 연(緣)을 관찰(觀察)해야 함에 대(對)한 품평(品評)
1. 무엇 때문에 이 논서(論書)를 짓는가
2. 완전(完全)히 공(空)해서 존재(存在)하는 것이 없다
3. 부처님 입적(入寂) 후(後) 상법시대(像法時代)
4. 무슨 이유(理由)로 공(空)하다고 하는지 알지 못한다
5. 발생(發生) 자체(自體)가 없으므로 모두 공(空)한 것이다
6. 만물(萬物)의 내출(來出, 오고감)에 대(對)하여
7. 발생(發生)하지 않으나, 소멸(消滅)하지도 않는다
8. 소멸(消滅)하지 않으나, 상주(常住)하지도 않는다
9. 상주(常住)하지 않으나, 단멸(斷滅)하지도 않는다
10. 단멸(斷滅)하지 않으나, 동일(同一)하지도 않다
11. 동일(同一)하지 않으나, 차이(差異)나지도 않는다
12. 차이(差異)나지 않으나, 종래(從來)하지도 않는다
13. 종래(從來)하지 않으나, 유출(有出)하지도 않는다
14. 모든 사물(事物)은 반드시 인(因)과 연(緣)에 의존(依存)한다
15. 자성(自性)이 없으므로 타성(他性)도 없다
16. 인연(因緣), 등무간연(等無間緣), 소연연(所緣緣), 증상연(增上緣)
17. 인연(因緣, 생각에 의해 형성된 현상)을 논파(論破)하다
18. 등무간연(等無間緣, 생각이 지향하는 작용)을 논파(論破)하다
19. 소연연(所緣緣, 생각의 지향이 되는 대상)을 논파(論破)하다
20. 증상연(增上緣, 대상을 분별하는 생각)을 논파(論破)하다
21. 간략(簡略)하거나 광범(廣範)한 인연(因緣)에도 결과(結果)는 없다
22. 결과(結果)가 있지 않으므로, 인연(因緣)이나 불연(不緣)도 없다
제2장. 관거래품(觀去來品)
가고 옴을 관찰(觀察)해야 함에 대(對)한 품평(品評)
1. 작(作, 행위)이 있으므로 법(法, 대상)이 있는 것이다
2. 이미 간 것에는 감이 없으니, 이미 갔기 때문이다
3. 아직 가지 않은 것에도 감이 없으니, 아직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4. 가는 현상(現象) 없이, 지금 가고 있는 주체(主體)를 얻을 수 없다
5. 감 자체(自體) 없이, 지금 가고 있는 현상(現象)이 있다고 말할 수 없다
6. 가는 주체(主體) 없이, 가는 현상(現象)을 얻을 수 없다
7. 삼시(三時, 과거 현재 미래)의 감 자체(自體)가 없다
8. 제3의 가는 자(者)도 있지 않다
9. 가는 주체(主體)가 있고, 후(後)에 가는 현상(現象)이 있다는 것은 옳지 않다
10. 삼시(三時)의 어디에도 시작(始作)은 없다
11. 모든 것에 시작(始作)이 없는데 무엇 때문에 분별(分別)하는가
12. 가는 자(者)도, 가지 않는 자(者)도, 제3자도 머물지 않는다
13. 감이 있지 않다면, 머묾도 있지 않다
14. 행(行)과 지(止)의 법(法)도, 감의 이치(理致)와 동일(同一)하다
15. 감과 머묾이 타파(打破)되듯이, 행(行)과 지(止)도 타파(打破)된다
16. 상속(相續)되므로 행(行)이라 이름하고, 단절(
◈ 중론(中論) 제1권
중(中)을 관(觀)해야 함에 대(對)한 이론(理論)
중론(中論) 서문(序文)
1. 중론(中論) 500개(個) 게송(偈頌)은 용수보살(龍樹菩薩)이 지은 것이다
2. 중(中)은 진실(眞實)을 비춤이고, 논(論)은 말을 다함이다
3. 범부(凡夫)의 집착(執着)하는 미혹(迷惑)은 전도(顚倒)된 견해(見解)에서 생(生)겨난다
4. 장주(莊周)의 무리로 하여금 대승(大乘)에 대해 문답(問答)하는 일이 없게 하였다
5. 청목(靑目)의 번역본(飜譯本)은 오류(誤謬)가 많다
6.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본(飜譯本)도 문장(文章)이 매끄럽지는 못하다
7. 백론(百論)은 밖을 다스리고, 중론(中論)은 안을 깨끗이 한다
8. 대지도론(大智度論)은 깊고 넓으며,십이문론(十二門論)은 정밀(精密)하다
제1장. 관인연품(觀因緣品)
인(因)과 연(緣)을 관찰(觀察)해야 함에 대(對)한 품평(品評)
1. 무엇 때문에 이 논서(論書)를 짓는가
2. 완전(完全)히 공(空)해서 존재(存在)하는 것이 없다
3. 부처님 입적(入寂) 후(後) 상법시대(像法時代)
4. 무슨 이유(理由)로 공(空)하다고 하는지 알지 못한다
5. 발생(發生) 자체(自體)가 없으므로 모두 공(空)한 것이다
6. 만물(萬物)의 내출(來出, 오고감)에 대(對)하여
7. 발생(發生)하지 않으나, 소멸(消滅)하지도 않는다
8. 소멸(消滅)하지 않으나, 상주(常住)하지도 않는다
9. 상주(常住)하지 않으나, 단멸(斷滅)하지도 않는다
10. 단멸(斷滅)하지 않으나, 동일(同一)하지도 않다
11. 동일(同一)하지 않으나, 차이(差異)나지도 않는다
12. 차이(差異)나지 않으나, 종래(從來)하지도 않는다
13. 종래(從來)하지 않으나, 유출(有出)하지도 않는다
14. 모든 사물(事物)은 반드시 인(因)과 연(緣)에 의존(依存)한다
15. 자성(自性)이 없으므로 타성(他性)도 없다
16. 인연(因緣), 등무간연(等無間緣), 소연연(所緣緣), 증상연(增上緣)
17. 인연(因緣, 생각에 의해 형성된 현상)을 논파(論破)하다
18. 등무간연(等無間緣, 생각이 지향하는 작용)을 논파(論破)하다
19. 소연연(所緣緣, 생각의 지향이 되는 대상)을 논파(論破)하다
20. 증상연(增上緣, 대상을 분별하는 생각)을 논파(論破)하다
21. 간략(簡略)하거나 광범(廣範)한 인연(因緣)에도 결과(結果)는 없다
22. 결과(結果)가 있지 않으므로, 인연(因緣)이나 불연(不緣)도 없다
제2장. 관거래품(觀去來品)
가고 옴을 관찰(觀察)해야 함에 대(對)한 품평(品評)
1. 작(作, 행위)이 있으므로 법(法, 대상)이 있는 것이다
2. 이미 간 것에는 감이 없으니, 이미 갔기 때문이다
3. 아직 가지 않은 것에도 감이 없으니, 아직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4. 가는 현상(現象) 없이, 지금 가고 있는 주체(主體)를 얻을 수 없다
5. 감 자체(自體) 없이, 지금 가고 있는 현상(現象)이 있다고 말할 수 없다
6. 가는 주체(主體) 없이, 가는 현상(現象)을 얻을 수 없다
7. 삼시(三時, 과거 현재 미래)의 감 자체(自體)가 없다
8. 제3의 가는 자(者)도 있지 않다
9. 가는 주체(主體)가 있고, 후(後)에 가는 현상(現象)이 있다는 것은 옳지 않다
10. 삼시(三時)의 어디에도 시작(始作)은 없다
11. 모든 것에 시작(始作)이 없는데 무엇 때문에 분별(分別)하는가
12. 가는 자(者)도, 가지 않는 자(者)도, 제3자도 머물지 않는다
13. 감이 있지 않다면, 머묾도 있지 않다
14. 행(行)과 지(止)의 법(法)도, 감의 이치(理致)와 동일(同一)하다
15. 감과 머묾이 타파(打破)되듯이, 행(行)과 지(止)도 타파(打破)된다
16. 상속(相續)되므로 행(行)이라 이름하고, 단절(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Klover리뷰 안내
Klover(Kyobo-lover)는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1.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운영 원칙 안내
Klover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 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 입니다. 교보eBook 앱에서 도서 열람 후 문장 하이라이트 하시면 직접 타이핑 하실 필요 없이 보다 편하게 남길 수 있습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5,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