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완역)
2014년 09월 01일 출간
국내도서 : 2007년 04월 04일 출간
- eBook 상품 정보
- 파일 정보 PDF (15.65MB)
- ISBN 9788961845366
- 지원기기 교보eBook App, PC e서재, 리더기, 웹뷰어
-
교보eBook App
듣기(TTS) 가능
TTS 란?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기술입니다.
- 전자책의 편집 상태에 따라 본문의 흐름과 다르게 텍스트를 읽을 수 있습니다.
- 이미지 형태로 제작된 전자책 (예 : ZIP 파일)은 TTS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 필기가능 (Android, iOS)

이 상품은 배송되지 않는 디지털 상품이며,
교보eBook앱이나 웹뷰어에서 바로 이용가능합니다.
작품소개
이 상품이 속한 분야
<모던일본>은 일본에 모더니즘을 소개하고 최신 유행에 앞서 갔던 대중잡지로, 조선의 지식인 마해송(1905-1966)이 사장으로 취임하여 편집 책임을 맡았다. 그 중 조선판은 수년간 품어온 그의 계획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1939년 11월과 1940년 8월에 각각 두차례 발행되었다. 1939년에 발행된 조선판은 일본과 조선 양쪽에서 판매되었는데, 30만부가 매진되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목차...5
일러두기...6
완역 <모던일본>조선판 1939...7
해제...513
역주...533
이 잡지는 1939년의 조선의 일상적인 모습들을 여과없이 보여준다. 평양의 기생들이 일본 유명인사의 행태를 스스럼없이 말하는 「기생좌담회」의 내용은 통쾌하기 그지없으며 당시 시대의 첨단에 서 있던 그녀들의 당당한 모습을 볼 수 있어서 흥미롭다. 또한 조선의 유명 여배우들의 모습들이 좋은 상태의 사진으로 보존되어 있어서 반갑기 그지없다. 특히 얼마 전 작고한 배우이자 가수인 신카나리아의 청순한 얼굴 역시 놓치고 싶지 않은 이 잡지의 신선함이다.
그 외에도 이 잡지에는 해외에서 활동한 조선인들, 조선 문학가의 작품, 꽁트, 조선의 유머에 이르기까지 억압된 시공간 속에서도 생동감 있게 살아있는 조선 사람들의 낙천적인 삶을 읽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시체제에서 조선인이 어떻게 동원되고 조선의 지식인들이 어떠한 친일적인 담론을 유포하였는지도 적나라하게 엿볼 수 있다.
당시 조선에 관한 ‘인사이클로피디아’로 소개되었듯이, 조선과 조선의 문화, 조선 사람들에 관한 사진과 그림, 만화, 기사, 소설, 수필 등 이 책에 실린 다양한 장르의 기사들은, 현대의 우리들을 1939년 조선의 일상으로 초대한다.
1939년 겨울 일본과 식민지 조선을 뜨겁게 달군 한 권의 대중잡지가 있었다. 이례적으로 “30만부” 판매기록을 남긴 이 잡지는 일본에서 발행되던 월간지『모던일본』에서 기획한 조선특집호, 『모던일본 조선판』이다. 이 잡지의 원본은 한국과 일본에서 희귀자료로 평가되는데 한일비교문화연구센터의 연구원 네 명이 광고의 문구까지 세밀하게 완역하여 펴낸 책이 『일본잡지 모던일본과 조선 1939』이다.
이 책에서 가장 먼저 시선을 끄는 것은 표지사진이다. 꽃모양의 비단치마 저고리를 입고 비스듬이 누운 자태의 여성은 배우 김소영의 모습. 당시의 유명한 평양기생이거나, 차홍녀, 문예봉, 신 카나리아와 같은 당시를 풍미하던 조선의 여배우, 그리고 최승희와 같은 무용가들이 이 책의 서두를 장식하는 화보에 등장하고 있다.
한편 물동이, 담뱃대 등 조선을 대표하는 이미지와 풍경들, 전통적인 여성의 가정생활 및 관광명소 등이 일본인의 시선에 의해 투사된 모습이기는 하나 다양한 생활의 면면이 생동감있게 그려지고 있어서 흥미롭다.
조선의 여행정보도 풍부하다. 예를 들어, 조선에서 만주에 이르는 교통편과 소요시간, 각 지역의 유명한 산업과 공장 소개, 각 지방의 명물을 재미있게 소개한 지도, 여행 에세이 등 조선 여행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로 가득차서 근대시기의 문화 자료들이 부족한 한국의 현실에서 이토록 생생하고 귀한 자료들을 우리들은 얼마나 만날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이다.
그런데 당시의 시대상황을 알 수 있는 기사에서는 중일전쟁에 동원되는 학도병의 모습, 애국부인회의 절미헌납 장면, 내선일체에 앞서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지식인들의 체제 편향적인 글 등, 내선일체를 선전하는 국책적 시선과 아울러 ‘내선일체’라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자유롭지 못했던 당시 조선의 일부 지식인들의 모습들도 여과없이 찾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선예술상>의 신설이 모던일본 조선판에 의해 공개되었다는 점도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되었다. 이는 문학가 마해송의 탁월한 기획력과 조선문학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했던 그의 의도가 드러나고 있는 부분이다. 또한 일본의 대중작가의 소설과 이광수, 이태준 등 조선문학을 대표하는 조선인 작가의 소설이 나란히 일본어로 번역되어 일본독자들에게 소개되고 있었음은 아이러니하면서도 우리의 관심과 흥미를 자극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이 책은 한일비교문화연구센터가 『화혼양재와 한국근대』(공저, 2006년5월), 『다카하시도루의 조선속담집』(박미경편역, 2006년8월)에 이어 야심차게 기획 번역한 책으로, 그간 소수의 연구자들 사이에서만 알려져 있던 일본잡지『모던일본』조선판을 완역하여 널리 많은 독자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한 데다가 일제강점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촉구한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하다.
1939년 동시대의 생생한 정보가 넘치는 이 책은 가공되지 않은 그 시대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독자들의 눈앞에 펼쳐 보인다. 21세기의 오늘날, 근대가 무르익던 시대의 삶의 모습을 접하는 것은 독자들에게 색다른 즐거움과 신선함을 선사해 줄 것이다.
<각 신문사 기사>
연합뉴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07/04/05/0200000000AKR20070405167900005.HTML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01654.html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04/h2007040918454184210.htm
동아일보
http://www.donga.com/fbin/moeum?n=books$j_123&a=v&l=1&id=200704070074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2685482
http://news.joins.com/article/2694749.html?ctg=15
조선일보(동영상)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4/13/2007041300798.html
작가정보
역자: 한비문(한일비교문화연구센터)
한국과 일본의 역사, 사상, 문화. 예술공간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지식생산의 일거리를 즐기는 젊은 연구자들의 공동체다(http://hanbimun.com)
윤소영 -근대한일관계사 전공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졸업(인문과학박사)
한서대학교 연구교수
홍선영 -한일근대문학 전공
쓰쿠바대학 대학원졸업(문학박사)
한국항공대 전임연구원
김희정 -한일근대문학 전공
가나자와대학 대학원졸업(문학박사)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연구원
박미경 -일본고전문학 전공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대학원졸업(인문과학박사)
숭의여대 겸임교수
번역 홍선영
이 상품의 총서
Klover리뷰 (0)
-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 오디오북, 동영상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리뷰 작성 시 익일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상품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은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 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문장수집
-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 수집 등록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 e교환권은 적립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 리워드는 1,000원 이상 eBook에 한해 다운로드 완료 후 문장수집 등록 시 제공됩니다. (5,000원 이상 eBook으로 변경 예정,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 sam 이용권 구매 상품 / 선물받은 eBook / 오디오북·동영상 상품/주문취소/환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