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경제통상학회
- 저자명
- 김인수
- 간행물 정보
- 『경제연구』경제연구 제21권 제3호, 31~5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화정책을 통화총량중시기간과 금리중시기간으로 나누어 통화총량 통화정책과 콜금리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실증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금리중시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통화총량(특히 M3)은 여전히 경제성장 및 물가안정 등 통화정책의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간목표변수 또는 정보변수로서 유용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금리중시 통화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은행은 통화정책 운용목표 및 정보변수로서 금리 뿐만 아니라 통화총량도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콜금리 통화정책의 경우, 형행 물가안정목표체제하에서 물가에 대한 선행지표로는 유효하다. 그러나 소득에 대한 선행지표로서는 유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금융시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이자율의 가격기능이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중·단기 금융시장을 육성발전시켜 이자율의 가격기능이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divide monetary policy into two periods i.e. money supply targeting policy period(from January of 1992 to December of 1997) and interest rate targeting policy period(from ,January 1999 to November 2002). The results tell me that in both periods money supply policy was effective preceding information of income and price. However, call rate policy was effective preceding information of price only in interest rate targeting policy period. This result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monetary policy of central bank. First, as interest rate targeting policy is in force at the moment, it is money supply that is important middle target variable or efficient information variable for completing the final target of monetary policy, i.e. economic growth, price stabilization etc. Therefore, Korean bank should consider money supply. Especially I believe that Koran bank should reconsider its announcement that from 2003 onward it would never set up or announce the monitoring range of M3.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erest rate and money supply as monetary policy application target or information variable. Second, while call rate policy is efficient, as preceding index of price, it is ineffective as preceding index of income. 1 believe this is because interest rate does not fully play its price function in our less developed financial market.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our financial market so that interest rate could give full play to its price function. Key words: money supply, call rate, causality test, variance decomposition, impulse reponse function
목차
1. 서론
2. 기존의 연구
3. 통화정책의 유효성 분석
4.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Granger 인과관계검정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