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정주영 신현기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38권 제2호, 219~25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학급(이하 통합학급)에 입급된 정신지체 초등학생을 위해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하는 교수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정신지체 학생이 일반교육과정에 충분하고 의미 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내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학급 교사 155명을 편의표집하여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특수학급 교사들은 정신지체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제에서 몇몇 차이를 나타냈다. 대체적으로 특수학급 교사들은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했으며 이는 특수학급에서의 교육과정 내용이나 교수자료에 그대로 반영되어 통합학급의 수업에 대한 적절한 교수적 지원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간의 강점에 기초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접근 태도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instructional suppor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inclusive settings. Information was solicited through a structured survey Questionnaire completed by 156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Chi-square analyses reveal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ed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Consequen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providing appropriate instructional supports to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is finding implie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increase knowledge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ultimately allowing positive and affirmative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for successful inclusion.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