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ve Behavior;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Situ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이문선 강영순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Vol.27 No.1, 251~2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의성과 혁신행동의 개념을 명확히 구분한 후 개인창의성과 혁신행동간의 선형관계를 규명하고,상황론적 관점에서 혁신행동의 선행변수인 창의성과 집단특성의 적합 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창의성을 내재적 직무동기, 영역관련지식 및 창의적 사고기술의 통합으로 측정함으로써 창의성의 복잡한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일부 현상만을 고려하여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성은 47.4%의 설명력으로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으로 창의성이 어떤 요인보다 우선적으로 그려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리더의 자원은 창의성을 혁신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상황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데로 구성원의 전문지식과 사고기술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훈련 및 개발 프로그램 운영은 물론 내재적 직무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직무설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또한 직위에 걸맞은 리더십 교육 및 개발 프로그램의 운영도 제안하였다. 그러나 연구성과를 더욱 풍족하게 하기 위해서는 후속연구로 개인수준에 치우친 창의성 연구를 집단 및 조직수준으로 확대하여 집단 및 조직수준의 혁신과의 관계를 규명함은 물론 양자의 관계를 촉진시키는 보다 거시적인 상황요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