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dolescents’ Friendships :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경섭(KyungSeop Kim) 김은주(EunJoo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747~77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서 중요한 친구관계를 원만하게 발전시켜 청소년기 심리적, 정서적 발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그릿의 매개적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제공하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의 4차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수는 고등학생 패널자료 중 ‘스마트폰을 사용합니까?’라는 질문에 ‘나의 스마트폰이 있음’과 ‘나의 스마트폰은 없지만, 부모님 등 다른 가족의 것을 이용함’에 응답한 2,244명이다. 자료분석은 연구에서 설정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독립변수 1)와 그릿수준(독립변수 2)가 친구관계(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된 그릿수준(매개변수)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친구관계에 있어서는 스마트폰 의존도보다는 그릿수준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의존도가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그릿수준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할 결과, 그릿수준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 건강한 친구관계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그릿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통제하고 나아가 청소년기의 안정적인 심리정서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grit in reducing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a growing social concern-by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healthy friendships that are essential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growth during adolescence. Data were drawn from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The sample consisted of 2,244 high school students who reported either owning a smartphone or using one belonging to a family memb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dependence (independent variable 1), grit level (independent variable 2), and friendship quality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friendship quality. The findings revealed, first, that grit exerted a stronger influence on adolescents’ friendships than smartphone dependence. Second, grit was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friendship qu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hat enhance grit to mitigate adolescents’ overreliance on smartphones and to promote stabl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