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ew on Linkage Analysis between the 2022 Korean Languag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General Korean Language Curriculum (2) : Focusing on Achievement Standards by Grade band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지수(Jisu Lee) 이인화(In-wha Lee) 최영인(Youngin Cho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701~745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이 교과 학문의 성과를 반영하면서도 학습자의 발달 특성과 교과 연구의 성과를 충분히 수용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향후 발전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본 교육과정 1~12학년의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삼아 일반 교육과정 및 누리과정과의 연계 유형을 설정하고 연계 강도와 영역 일치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저학년에서는 기본 교육과정이 누리과정과의 연계성이 강한 반면, 학년군이 높아질수록 일반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교육과정의 듣기·말하기 영역에서는 대화 참여 태도와 화행 교육이 반복적으로 강조되었으며, 읽기 영역에서는 기초 문해력과 읽기 유창성의 지속적 강조가 특징적이었다. 쓰기 영역에서는 초기에는 문자 인식 및 기초 쓰기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다가 고학년으로 갈수록 사실 전달과 생각 표현으로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본 교육과정은 일반 교육과정과의 연속성을 확보하면서도 특수교육 대상 학습자의 학습 접근성과 발달 속도를 고려한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기본 교육과정은 정의적 요소에 대한 학습을 강화하고, 10-12학년에서의 급격한 난도 상승을 조정하며, 문법 학습 요소의 다양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 교육과정은 읽기 및 문학 학습 제재로서 문학 작품의 수준과 종류를 기본 교육과정과 일부 공유하고 매체 학습 내용을 타 영역에 통합하는 방식으로 기본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추구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2022 Korean Languag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dequately reflects subject-specific academic goals while accommodat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incorporating findings from subject research. The analysis focuses on the types and intensities of connections between the basic curriculum,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Nuri curriculum(Korea’s national pre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lower grades, the basic curriculum showed stronger connections to the Nuri curriculum, while in higher grades, the alignment with the general curriculum becomes more pronounced.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section of the basic curriculum, conversational participation attitudes and speech act education were repeatedly emphasized, and in the reading section, basic literacy and reading fluency were continuously addressed. In the writing section, the initial focus was on letter recognition and basic writing activities. However, as students progressed to higher grades, the focus expanded to activities that involved conveying facts and expressing though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s designed to ensure continuity with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hile considering the learning accessibility and developmental pace of special education learners. Nevertheless, further reinforcement is needed in the learning of defining elements, alongside adjustment for the rapid increase in difficulty in grades 10-12 and diversification of grammar-related learning components. Additionally, it is proposed that the general curriculum may enhance its linkage with the basic curriculum by sharing certain types and levels of literary works for reading and literature instruction and by integrating media literacy content into other area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분석
3. 2022 개정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누리과정 및 일반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4. 정리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