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s of Peer Feedback in the Topic Selection Stage : Focusing on a Case from a College Writing Course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임진하(Jinha Lim) 김윤진(Yoonjin K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323~361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쓰기 과정 중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이 지니는 교육적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 사례를 통해 동료 피드백이 글쓰기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동료 피드백의 과정이 주제와 주제문을 구체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고 작성을 시작하지 않은 글의 구상 단계에서 예상 독자와 미리 대면하는 과정은 쟁점을 예각화하고 글쓰기 의욕을 높이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주제 선정에 있어 교수자 피드백이 지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교수 방법을 제안하였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오늘날의 상황에서, 학생들이 독자와의 대화를 통해 글쓰기의 의미와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시도는 한층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동료 피드백을 초기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글쓰기의 본질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peer feedback during the topic selection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Using a case study of a university writing course, it examines the effects of peer feedback on students’ writing process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ocess of peer feedback i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specify their topics and topic sentences. Engaging with potential readers at the idea-generating stage-before drafting begins-also had positive effects on sharpening issues and enhancing students’ motivation to wri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an instructional approach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eacher feedback in topic selection. In an era where the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educational practices that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the meaning and pleasure of writing through dialogue with readers are more significant than ev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ctively incorporating peer feedback from the early stages of writing can contribute to realizing the intrinsic value of writing in university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및 동료 피드백 도입의 배경
3. 연구 방법 및 결과
4. 동료 피드백의 보완 및 활용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진하(Jinha Lim),김윤진(Yoonjin Kim). (2025).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5), 323-361

MLA

임진하(Jinha Lim),김윤진(Yoonjin Kim). "주제 선정 단계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 연구 - 대학 글쓰기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5(2025): 323-36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