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ning of Generative Failure in Heutagogical Nonlinear Learning : Learners’ Self-Awareness in University Writing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남미(Nammee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291~32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비선형 학습 환경에서 생성적 실패의 교육적 의미가 무엇인가를 살피고, 그 의미가 학습자들을 저자성을 지닌 글쓴이로 성장시키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를 논의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비선형 학습의 의미와 생성적 실패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고 비선형 학습 과정에서 생성적 실패를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의 설계 원리를 보였다. 해당 수업에서 산출된 실제 학습자 글을 분석 결과, 표면적으로는 의사소통 실패로 여겨지는 것들이 실제로 학습자가 주목하는 지점으로 초점화하기 위한 활동이며, 자기 성장을 위한 과정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가 비선형적 글쓰기 수업에서 생성적 실패를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끄는 수업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믿음, 생성적 실패를 경험할 수 있는 수행활동의 다각성과 연결성, 글쓰기의 핵심 가치에 대한 공유 등에 주목한 수업 설계가 중요하다.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생성적 실패를 대면하고 자신의 사고 방식에 입각하여 이를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교수 역시 학습자들의 실제 산출 자료를 토대로 생성적 실패가 어디에서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기대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서라도 스스로의 수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생성적 실패를 적극적인 성장의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generative failure in nonlinear learning environments and examines how such failure contributes to learners’ development as authorial writers. It reviews key discussions on nonlinear learning and generative failure and proposes pedagogical principles for designing writing instruction that embraces failure as a productive learning event. Through analysis of student writing produced in a course informed by these principles, this study reveals that what may appear as communicative failure often serves as a focalizing strategy through which learners identify meaningful points of engagement and pursue self-growth.
To support this growth, writing instruction must be grounded in trust in learners, the design of diverse and interconnected performance tasks that allow space for generative failure, and a shared understanding of core values in writing. It is also essential to provide learners with opportunities to confront and reconstruct their failures through their own cognitive frameworks. Instructors, likewise, should recognize how generative failure emerges in students’ work and use it as a resource to foster their development as reflective, intentional writers.
목차
1. 서론
2. 글쓰기 수업에서의 비선형성과 생성적 실패
3. 생성적 실패로 성장을 이끄는 비선형 수업
4. 학습자 생성적 실패 인식의 교육적 의미
5. 결론 및 남은 문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