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rompt Types in Generative AI :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Prompt Literac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권이은(E En Kwon) 이용준(Yongjun L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6권 5호, 115~1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이 작성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유형을 분류하고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작성한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유형은 크게 작성 방법과 내용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둘째, 작성 방법과 관련된 프롬프트 유형은 복사·붙여넣기, 표현 변경, 재구조화 유형이 있었다. 셋째, 내용과 관련된 프롬프트 유형은 정보 생성(정보 탐색, 정보 적용, 정보 분석 요청), 텍스트 생성(개방형 생성, 제약형 생성 요청), 점검 및 조정(피드백 제시, 피드백 요청) 유형이 있었다. 넷째, 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유형은 재구조화 유형과 정보 탐색 유형, 적게 사용한 유형은 복사·붙여넣기 유형과 피드백 요청 유형이었다. 다섯째, AI 리터러시 점수와 프롬프트 리터러시 유형간의 관계를 분석했을 때 점수가 높은 학생들은 정보 분석 유형, 낮은 학생들은 개방형 생성 유형을 활용할 가능성이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의 필요성과 프롬프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을 촉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prompts written by university students and examined their usage patter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prompts written by university stud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ethod of construction and content. Second, the types related to construction methods includ copy-and-paste method, expression modification, and restructuring. Third, the types related to content included information generation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application, information analysis requests), text generation (open-ended and constrained generation requests), and checking and adjustment (providing feedback, requesting feedback). Fourth,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ere restructuring and information retrieval, whereas the least frequently used method were copy-and-paste and feedback request. Fifth,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 literacy scores and prompt literacy type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with higher scores had a significantly increased likelihood of using the information analysis type, while students with lower scores had a significantly increased likelihood of using the open-ended generation type.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investigating university students’ AI prompt types and calls for researchers’ to pay attention to prompt literacy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이은(E En Kwon),이용준(Yongjun Lee). (2025).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 (5), 115-144

MLA

권이은(E En Kwon),이용준(Yongjun Lee). "대학생의 생성형 AI 프롬프트 유형 연구 - 프롬프트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리터러시 연구, 16.5(2025): 115-14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