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푸가의 음악적 변용에 관한 연구 - 니체의 예술 철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Musical Transformation of Fugue - Focusing on Nietzsche’s Philosophy of Art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왕안남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6권 제3호, 115~14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푸가는 서양 기악을 대표하는 장르 중 하나이다. 푸가에 관한 연구는 오랜 시간 진행되었지만, 대부분 형식이나 기법적인 관점에 대해 한정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푸가처럼 역사가 긴 음악은 오랫동안 변용되었기 때문에,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변용된 각 시대의 음악 철학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니체의 예술 철학에서 중심 원칙으로 작용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을 음악에 적용하여 음악 속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개념을 정의한 후 음악사 속 푸가의 변용 과정을 연구하였다. 특히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서 디오니소스적인 것과 아폴론적인 것의 균형이 깨질 때 푸가는 어떠한 변화를 보여주었는지, 음악사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위의 연구 내용을 종합할 때, 푸가는 니체가 가장 디오니소스적인 예술이라 주장했던 음악 중에서도 가장 디오니소스적인 것이었다. 푸가는 음악 철학이 변화할 때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고 여러 차례 쇠퇴의 길을 걸었으나, 계속해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으로 살아남았다. 푸가가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상호 의존적 관계와 대극적인 관계 속에서도 늘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우위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푸가가 시대적, 음악사적 변화에도 디오니소스적인 특징을 유지하였다는 점에서 절대적 가치를 지닌 음악의 전형으로 여겨질 만 하며, 현대처럼 급변하는 시대에 철학적 이념을 유지하는 이상적인 장르로써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매우 중요한 음악 장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fugu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res of Western instrumental music. While research on the fugue has been ongoing for a long time,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formal or technical aspects. However, because a piece of music with such a long history has undergone extensive transformatio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its meaning requires an examination of the musical philosophies of each era. In this paper, I apply the Dionysian and Apollonian principles, central to Nietzsche’s artistic philosophy, to music. After defining the concepts of the Dionysian and Apollonian in music, I studied the transformation of fugues throughout musical history. In particular, I examined how fugues changed when rapid changes disrupted the balance between the Dionysian and Apollonian elements, and what role they played in music history. In summary, the fugue, even among the music Nietzsche claimed to be the most Dionysian of the arts, was the most Dionysian. The fugue reacted most sensitively to shifts in musical philosophy and, despite experiencing several declines, consistently survived as a Dionysian art form. This is because the fugue consistently prioritized the Dionysian, even amidst the interdependence and opposition between the Apollonian and Dionysian elements. In this way, the fugue can be considered a typical example of music with absolute value in that it has maintained its Dionysian characteristics despite changes in the times and music history, and it can be evaluated as a very important music genre worth studying as an ideal genre that maintains philosophical ideology in a rapidly changing era like the present.

목차

1. 서론
2. 니체의 아폴론적인 예술과 디오니소스적인 예술
3. 음악 속의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
4. 푸가의 발전 과정 속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안남. (2025).푸가의 음악적 변용에 관한 연구 - 니체의 예술 철학을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6 (3), 115-145

MLA

왕안남. "푸가의 음악적 변용에 관한 연구 - 니체의 예술 철학을 중심으로." 인간과자연, 6.3(2025): 115-14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