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mputer-Utilization Competenc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Delphi Stud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혜(Jee Hae Choi) 박경옥(Kyoung Ock Park)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4호, 3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대학생의 학업 수행과 대학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인 컴퓨터 및 디지털 활용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고찰과 교육 현장 요구분석을 토대로 3개 대영역, 14개 하위영역, 26개 학습요소를 도출하여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실시하였다. 각 조사에서는 내용타당도 비율(CVR), 합의도, 수렴도를 산출하여 항목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다만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패널 1명이 이탈하여 최종적으로 8명의 전문가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일부 항목이 제외되고 문항 표현과 순서가 수정되었으며, 최종적으로3개 대영역, 9개 주요 개념, 16개 학습요소가 확정되었고, 최신 디지털 학습 환경을 반영하여 AI 기반 검색도구등이 포함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은 장애 대학생의 컴퓨터 및 디지털 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업 성취와 대학 생활 적응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토대로 향후 다양한 장애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실제 적용을 통한 효과 검증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n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the computer and digital utilization competencies essential for supporting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Based on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an analysis of educational field needs, a draft program was developed with 3 major domains, 14 sub-domains, and 26 learning elements. A two-round Delphi survey was then conducted with nine special education experts. In each survey, the appropriateness of the items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agreement, and convergence. However, as one panelist withdrew during the second round, the responses of eight experts were ultimately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ounds of the Delphi survey, some items were excluded, and the phrasing and order of questions was revised. Ultimately, the program was finalized with 3 major domains, 9 main concepts, and 16 detailed content elements, including AI-based search tools to reflect the latest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Conclusion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 data for strengthening the computer and digital utilization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further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future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gram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disability types and the need for research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