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의 디아스포라 담론 : 영화 <피부색깔=꿀색>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iaspora Discourse as 'Content Activism' : Focusing on the Film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시연(Si-yeon Park)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51집, 95~11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속 ‘콘텐츠’라는 개념이 사회 속 개인 혹은 집단의 문제를 ‘인식’하는 발돋움이 되는 발판의 형태로 바라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디아스포라 콘텐츠가 어떻게 콘텐츠 액티비즘(contents activism)으로 발현될 수 있는지를 다양한 이론적 틀을 통해 분석한다. 특히 영화 <피부색깔=꿀색>(2012)을 중심으로, 디아스포라적 경험과 정체성의 재구성이 콘텐츠 액티비즘의 형태로 나타나는 과정을 탐구한다. <피부색깔=꿀색>(2012)은 감독의 자전적 다큐멘터리로 한국전쟁 이후 벨기에로 입양된 한국인 고아의 이야기를 통해, 이주자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 사회적 소외감, 그리고 문화적 충돌을 강렬하게 묘사한다. 필자는 이러한 디아스포라 서사는 단순한 개인적 서사를 넘어, 전 세계 이주자들이 겪는 공통된 문제를 조명하고, 사회적 인식과 연대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헨리 젠킨스의 참여문화,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주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등의 사회문화적 이론들을 바탕으로, 디아스포라 콘텐츠가 정체성의 재구성, 문화적 저항, 그리고 글로벌 공론장을 형성하는 강력한 도구로 작용함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디아스포라 서사는 사회적 변화와 공감 형성을 촉진하는 콘텐츠 액티비즘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함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content' within cultural content as a foundation for recognizing issues faced by individuals or groups in society, and analyzes how diaspora content can manifest as Content Activism through various theoretical frameworks. Focusing particularly on the film Approved for Adoption (Couleur de Peau: Miel),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diasporic experiences and the reconstruction of identity emerge as a form of content activism. Approved for Adoption is an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by the director, depicting the story of a Korean war orphan who was adopted to Belgium. The film vividly portrays the identity confusion, social alienation, and cultural conflict experienced by migrants. I argue that this diasporic narrative goes beyond a personal story to shed light on the common issues faced by migrants worldwide, playing a crucial role in raising social awareness and fostering solidarity. This study discusses how diaspora content, based on social and cultural theories such as Henry Jenkins' Participatory Culture, Pierre Bourdieu's Cultural Capital, Judith Butler's Performativity, and Jürgen Habermas' Public Sphere, functions as a powerful tool in the reformation of identity, cultural resistance, and the creation of a global public sphere. Through this, I aim to emphasize that diasporic narratives can serve as a significant means of content activism, promoting social change and empathy form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콘텐츠 액티비즘’과 ‘디아스포라 콘텐츠’
3.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인문콘텐츠
  • 환경교육
  • 한국언어문화
  • 인문콘텐츠
  • 디아스포라연구
  • 현대소설연구
  • 디지털문화연구
  •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 인문콘텐츠
  • 한국동북아논총
  • 인문콘텐츠
  •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미디어문화연구
  • 황해문화
  • 영상문화콘텐츠연구
  • 현대문화연구
  •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 Harvard University Press
  • Routledge
  • MIT Press
  • New York University Pres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시연(Si-yeon Park). (2024).‘콘텐츠 액티비즘’으로의 디아스포라 담론 : 영화 <피부색깔=꿀색>을 중심으로. 철학과 문화, (), 95-117

MLA

박시연(Si-yeon Park). "‘콘텐츠 액티비즘’으로의 디아스포라 담론 : 영화 <피부색깔=꿀색>을 중심으로." 철학과 문화, (2024): 95-11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