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법칙의 예외와 반대신문권 및 인권 - 유럽인권재판소 Al-Khawaja and Tahery v. UK판결과 관련하여

이용수 0

영문명
Hearsay Rule, Right to Cross-Examination, and Human Rights: Concerning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Judgment in Al-Khawaja and Tahery v. UK
발행기관
한국형사정책학회
저자명
김종구(Jong Goo Kim)
간행물 정보
『형사정책』第37卷 第3號, 305~3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형사소송법의 전문법칙은 공판중심주의, 반대신문권,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떠받치는 핵심 원리다. 대면권은 유럽인권협약(ECHR) 등 국제인권규범에도 명시되어 있다. 다만 전문법칙을 예외 없이 적용하면 진실발견이 저해될 수 있어, 각국은 증인 부재 시 예외적 전문증거 허용과 함께 피고인의 권리를 보완하는 안전장치(counterbalancing factors)를 병행한다. 본 논문은 부재 증인의 진술에 의존한 유죄판결이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는지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Al-Khawaja and Tahery v. UK 판결을 분석한 것이다. 유럽인권재판소 제1심부는 기존의 “유일·결정적 증거 원칙”(sole or decisive test)을 엄격히 적용해 Al-Khawaja와 Tahery 사건 모두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침해를 인정했다. 이에 대해 영국 대법원은 R v. Horncastle 판결에서 이 원칙이 경직적이라며, 영국의 다층적 절차적 안전장치가 공정성을 담보한다는 점을 들어 재고를 요청했다. 이른바 ‘사법적 대화’의 결과, 유럽인권재판소 대심판부(2011)는 법리를 수정했다. 즉 부재 증거가 유일·결정적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러한 증거의 사용이 자동으로 유럽인권협약 위반은 아니라고 보았다. 항상 절차 전체의 공정성을 종합 평가해야 하며, 부재 증거가 결정적일수록 그 위험을 상쇄할 충분하고 강력한 절차적 보장이 있었는지 엄격하게 심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법리를 적용해 Al-Khawaja 사건에서는 협약 위반 아니라고 보았고, Tahery 사건에서는 협약 위반을 인정했다. 이러한 유럽인권재판소의 판례는 형사소송법 제314조 운용에 시사점을 준다. 우리 대법원이 증인 부재 사유와 관련하여 형사소송법 제314조를 배제 중심으로 운용해 온 것과 달리, 유럽인권재판소 대심판부의 유연한 접근방식은 제314조의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특신상태)’의 요건을 탄력적으로 해석하되, 피고인의 방어권 보완 장치와 강도 높은 신빙성 심사를 전제로 공익과 정의 실현을 도모할 여지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결정적 증거라도 일률적으로 배제하기보다는, 가장 치밀한 심사(the most searching scrutiny)를 통해 전문증거 사용의 허용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hearsay rule is a core principle of modern criminal procedure, securing the defendant’s right to cross-examination and the right to a fair trial. However, applying the rule without exception may impede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necessitating exceptions when witnesses are unavailable due to circumstances like death or fear. National legal systems, therefore, implement counterbalancing factors to protect the defendant when hearsay evidence is admitted. This paper analyzes the landmark judgment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in Al-Khawaja and Tahery v. UK, which examined whether a conviction based on the statements of an absent witness-whom the defendant could not confront-violates the right to a fair trial guaranteed by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rticle 6. The initial ECtHR Chamber strictly applied the established jurisprudence known as the “sole or decisive evidence test,” concluding that a violation had occurred in both cases. In a important moment of ‘judicial dialogue’, the UK Supreme Court, through its R v. Horncastle and Others judgment, criticized the ECtHR Chamber’s principle as overly rigid and failing to acknowledge the procedural safeguards embedded in UK law, urging the ECtHR to reconsider. Responding to this challenge, the ECtHR Grand Chamber, in its 2011 decision, modified the existing legal principle. The Grand Chamber clarified that the “sole or decisive evidence test” is not an absolute rule of exclusion; instead, while the importance of absent evidence remains a “very important factor,” courts must always assess the “overall fairness of the proceedings”. The Grand Chamber ruled that a conviction based on decisive hearsay evidence can be justified, provided there are sufficient counterbalancing factors and strong procedural guarantees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evidence. Applying this modified standard, the Grand Chamber found no ECHR violation in the Al-Khawaja case but upheld the finding of a violation in the Tahery case. This evolution in ECtHR jurisprudence offers critical comparative legal insights for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Article 314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the exception for unavailable witnesses based on ‘special reliability’). While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traditionally maintained a strict exclusionist approach, the ECtHR Grand Chamber's flexible standard suggests that Korean courts should consider allowing decisive hearsay evidence, even in the absence of cross-examination, if it has been subjected to the most searching scrutiny and if sufficient procedural safeguards compensating for the defense disadvantage are in place.

목차

Ⅰ. 머리말
Ⅱ. 유럽인권재판소 Al-Khawaja and Tahery v. UK 사건 제1심부 판결
Ⅲ. 영국 대법원의 R v. Horncastle and Others 판결
Ⅳ. 유럽인권재판소 Al-Khawaja and Tahery v. UK 사건 대심판부 판결
Ⅴ. 형사소송법 제314조와 비교법적 고찰 및 시사점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구(Jong Goo Kim). (2025).전문법칙의 예외와 반대신문권 및 인권 - 유럽인권재판소 Al-Khawaja and Tahery v. UK판결과 관련하여. 형사정책, 37 (3), 305-335

MLA

김종구(Jong Goo Kim). "전문법칙의 예외와 반대신문권 및 인권 - 유럽인권재판소 Al-Khawaja and Tahery v. UK판결과 관련하여." 형사정책, 37.3(2025): 305-33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