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Women’s Underrepresentation among Local Government Leaders and Their Political Leadership
-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저자명
- 김은경(Eun Kyung Kim) 천재영(Jaeyoung Cheon)
- 간행물 정보
- 『여성연구』통권 제126호, 81~11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그동안 여성의 정치 참여 연구에서 심도있게 다루지 않았던 여성 기초자치단체장에 초점을 두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한 여성 정치인의 경력에 나타나는 특징과 공천과정을 통해 여성의 정치적 과소대표성에 대해 분석하고, 여성 기초자치단체장의 경험을 기반으로 여성 리더의 리더십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기초자치단체장 여성 후보자의 경력은 정당인, 기초의원의 순으로 많았으나, 당선율이 높은 경력은 정무직 공무원, 기초자치단체장(재선), 광역의원의 순으로 나타나, 여성 후보자의 행정 경력이 당선에는 주요했다.
본 논문은 기초자치단체장에 여성 과소대표의 원인은 정당 내 성별 균형을 고려하는 제도적 장치의 부재와 행정 조직의 최고 리더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 때문이라는 선행연구 외에, 후보자 중 행정 경험이 있는 경력자가 부족했다는 점과 공천 과정에서 남성 우선 공천 관행과 지역 연고라는 성차별적 공천 기준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행정 경력이나 지역 연고는 후보자 개인의 역량으로 보이지만 임명직인 정무직 공무원의 경력 등은 여성 정치인이 자력으로 획득할 수 있는 역량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여성 정치인이 기초자치단체장의 지위까지 올라가는 데에 구조적 불평등, 유리천장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여성 정치인의 기초자치단체장 리더십의 경험에서 여성주의 리더십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결국 지방자치단체장의 여성 과소대표는 지방정부의 인사행정과 조직문화에서 여성의 소외와 주변화로 이어져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female mayors and heads of local governments (hereinafter heads of local governments) —a topic that has been largely overlooked in the field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reer characteristics of female politicians who have run for local government leadership positions, the causes of female underrepresentation through their careers and nomination processes, and the implications for feminist leadership based on their leadership experiences as local government heads.
Female candidates for heads of local government were mostly political party members and local council members. However, the careers with the highest chance of being elected were political civil servants, heads of local government(re-elected), and metropolitan council members, showing that administrative experience was important for female candidates to be elected.
In addition to previous studies that found the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in local government heads was due to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mechanisms that consider gender balance within political parties and gender role stereotypes regarding top leader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we found that this was due to the lack of candidates with administrative experience and the application of gender-discriminatory nomination criteria such as male-first nomination practices and regional connections during the nomination process. Administrative experience and regional connections appear to be the candidates’ capabilities. However, the fact that political civil servants are appointed by political leaders indicates that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acquire administrative experience by themselves, which means there is structural inequality and a glass ceiling for women.
Meanwhile, this study, which targeted female heads of local governments, found that when female politicians became top decision-makers, they demonstrated feminist leadership. Ultimat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female underrepresentation among local government heads failed to sufficiently reflect women’s voices in the local government’s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during the local government’s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정치 리더와 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 과소대표
Ⅲ. 역대 여성 기초자치단체장 후보자와 당선자
Ⅳ. 여성 기초자치단체장의 과소대표 원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