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ritique of Orthodox Islamic Theology in Omar Khayyam's Rubaiyat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홍인자(In Ja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395~4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동방 이슬람 세계에서 수니 이슬람의 정통성을 회복하고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셀주크 왕조는 정통 이슬람 신학을 정립하고, 이슬람 철학을 탄압하였다. 이 같은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12세기 페르시아에서 활동한 오마르 하이얌(Omar Khayyam, 1048~1131)은 철학자 이븐 시나(Ibn Sina, 980~1037)의 철학을 계승하여 자신의 작품『루바이야트』에서 알 가잘리(Al- Gazel, 1058~1111)의 정통 이슬람 신학을 비판하였다. 특히 가잘리가 『철학자들의 모순』에서 비판한 이븐 시나의 사상들을 인용하여 이슬람 율법학자들의 위선과 정통 이슬람 신학의 모순을 지적했다. 이러한 종교적인 이슈는 그의 시작 활동에 있어 가장 중심이 되는 내용이며, 이를 중심으로 허무주의와 쾌락주의가 확장되었다. 본 논문은 하이얌의 작품을 지금까지의 관점이 아닌 다른 각도 즉 종교적인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eljuk dynasty, which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restoration and promotion of Sunni Islam's legitimacy in the Eastern Islamic world, oppressed Islamic philosophy while playing a key role in establishing orthodox Islamic theology. In the atmosphere of the era, Omar Khayyam (1048–1131), who was active in 12th-century Persia, inherited a significant philosophical evolution directly influenced by Ibn Sina (980–1037)'s thought and involved as a critique of Al-Gazel (1058–1111)'s orthodox Islamic theology in his works Rubaiyat. In particular, Gazel references Ibn Sina's ideas in The Contradictions of the Philosophers to expose the hypocrisy of Islamic jurists and the internal contradictions of orthodox Islamic theology. These religious themes are central to his early work and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his nihilism and hedonism. This paper aims to reanalyze Khayyam's work through a religious lens, offering a novel perspective distinct from previous analyses.
목차
Ⅰ. 서론
Ⅱ. 오마르 하이얌의 철학 배경-이슬람 신학과 철학 간의 갈등
Ⅲ. 루바이야트에 나타난 정통 이슬람신학 비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대동철학
- 동서철학연구
- 세계문학비교연구
- 문학과종교
- 가톨릭신학
- 철학논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