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ran’s Position on the Israel–Hamas War and the Implications of the Iran–Israel Military Confrontations
- 발행기관
- 한국중동학회
- 저자명
- 이주한(Joo-Ha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2호, 67~9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이후 이란–이스라엘 간 군사 충돌에서 이란이 취한 입장과 대응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이란의 장기적 안보전략 및 대외정책 기조와의 연계 속에서 해석하였다. 이란 최고지도자실, 대통령실, 유엔주재 이란대표부의 공식 성명을 토대로, 본 연구는 이란이 해당 갈등을 ‘저항의 축’ 구도의 연장선으로 규정하고, 국제법적 정당성을 강조하며, 이스라엘–미국 공조를 역내 불안정의 근원으로 비판하는 담론 전략을 구사했음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 이란은 직접적 군사 개입보다는 담론전, 종교·도덕적 이분법, 역내 연대 강화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방식을 선호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Iran’s stance during the Israel–Hamas war and subsequent military confrontations with Israel, analyzing how these actions align with Iran’s long-standing security strategy and foreign policy principles. Using official statements from the Supreme Leader’s Office, the Presidential Office, and Iran’s Permanent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the research identifies a consistent emphasis on framing the conflict as part of the “Axis of Resistance”, legitimizing Iran’s position under international law, and portraying Israel–U.S. cooperation as the root cause of regional instability. The findings reveal Iran’s preference for discourse warfare, religious–moral framing, and regional solidarity over direct military engagement, reflecting a broader strategy of indirect intervention to maximize influenc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Ⅲ.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발생 배경
Ⅳ. 하마스-이란 관계
Ⅴ. 이스라엘-이란 관계
Ⅵ.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이란의 대응
Ⅶ. 이란-이스라엘 간 군사 충돌의 함의
Ⅷ.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