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heonbulcheontap at Unjusa Temple Based on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of the Amitayurdhyana Sutra : With a Focus on Its Relationship to the Baeknyeongyeolsa
- 발행기관
-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 저자명
- 홍석경(Suk-Kyoung Hong)
- 간행물 정보
- 『전통미술융합연구』제4호, 71~113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국문 초록
운주사는 불교, 밀교, 도교 및 별자리 신앙 등 다양한 종교집단이 교류했던 장소이며 천불천탑은 그 교류의 결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근거가 매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천불천탑 조형 전체에 대한 포괄적 설명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천불천탑에 얽힌 수많은 수수께끼들은 오랜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의문만 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 후기에 널리 유행했던 관경16관변상도의 구성과 도상에 근거하여 천불천탑 공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천불천탑 공간은 관경16관변상도의 구성처럼 네 개의 정토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정토에 설치된 모든 조형물 및 석탑의 상징성은 관경16관변상도의 도상을 참고하여 통일성 및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명쾌하게 해석할 수 있었다. 이것은 천불천탑이 관경16관변상도에 기초하여 건설된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를 구현한 것임을 강력히 암시한다. 천불천탑의 건립 주체는 13세기 말-14세기 초 개성의 왕실 원찰인 묘련사에 진출하여 천태종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강진 백련사 계열의 고승들로 짐작된다. 그들은 고려 왕실과 권문세족으로부터 전폭적인 후원을 받아 관경16관변상도에 표현된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를 백련결사 본거지인 강진 백련사에서 가까우면서 석재 채취가 용이한 화순 운주사 일대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Unjusa(雲住寺) temple in Hwasun has long been regarded as a site of religious convergence, where traditions such as Buddhism, Esotericism, Taoism, and constellation-based beliefs interacted. The so-called Cheonbulcheontap(千佛千塔), meaning “a thousand Buddha statues and a thousand pagodas,” has been interpreted as a material trace of this interaction. However, previous claims have lacked sufficient evidence and fail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planation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Cheonbulcheontap. Consequently, many of its mysteries remain unresolved.
This study presents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heonbulcheontap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iconography of the Illustrations of the Sixteen Contemplations of the Amitayurdhyana Sutra(觀經十六觀變相圖)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Based on these illustrations, the spatial layout of the Cheonbulcheontap can be divided into four Pure Lands. The symbolism of the sculptures and pagodas within each Pure Land can be interpreted through Buddhist iconography, maintaining thematic unity and consiste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eonbulcheontap was constructed as a representation of Amitabha’s Western Pure Land, inspired by the Sixteen Meditations Sutra.
The construction is presumed to have been led by eminent monks from Baekryeonsa(白蓮寺) temple located in Gangjin, who extended their influence to Myoryeonsa(妙蓮寺), a royal temple in the capital city of Gaeseong, during the late 13th to early 14th centuries. These monk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flourishing of the Cheontae (Tiantai) sect.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ryeo royal family and aristocracy, It is believed that Amitabha’s Pure Land was established in the valley and on the hillside near Unjusa, close to Baekryeonsa which served as the central site of the Baeknyeongyeolsa(白蓮結社)—a religious reform movement that emphasized repentance and faith in rebirth in the Pure Land.
목차
Ⅰ. 머리말
Ⅱ. 관경16관변상도의 도상학에 의한 운주사 천불천탑의 새로운 해석
Ⅲ. 천불천탑 기하문양의 기원 및 상징성
Ⅳ. 천불천탑의 조성 시기, 조성 주체, 조성 목적
Ⅴ. 운주사 천불천탑의 세계유산적 가치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단행본
- 단행본
- 단행본
- 단행본
- 단행본
- 단행본
- 박물관기요
- 천문학논총
- 문화재
-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호남학
- 정신문화연구
-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