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Digital Competence on University Students’ Online Class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지명원(Myong-Won CHI)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2권5호, 189~20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디지털 활용역량이 온라인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재학생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SPS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디지털 활용역량이 온라인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디지털 윤리역량과디지털 활용 학습역량은 인지적 몰입에, 디지털 도구 활용역량, 데이터 활용역량, 디지털활용 학습역량은 정서적 몰입에, 디지털 도구 활용역량과 디지털 활용 학습역량은 행동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은 모두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자기조절 효능감의 간접효과가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의 몰입을 높이기 위해디지털 활용역량 강화와 자기조절 효능감 증진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digital competence on university students’ online class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8 undergraduate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digital ethics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e significantly predicted cognitive engagement, while digital tool and data competence, along with digital learning competence, influenced emotional engagement. Behavioral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digital tool and digital learning competence. Second, the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self-regulatory efficacy, and confidence) exhibited partial mediating effects, with self-regulatory efficacy emerging as the strongest mediat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gital competence and self-regulatory efficacy are key to online class eng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