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of prudent women : A self-psychologic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정선희(Sunhee Jung) 김태완(Taew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479~50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신중년 여성의 삶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신중년 여성들에게 ‘삶의 경험과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첫째, 신중년 여성들의 삶의 경험과 의미의 신체성은 ‘자신에 대한 배려와 돌봄’ 과 ‘지속적인 삶의 영위’로 나타났다. 둘째, 신중년 여성들의 삶의 경험과 의미의 공간성은 ‘절대적 순응’과 ‘갈등과 극복의 여정’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중년 여성들의 삶의 경험과 의미의 시간성은 ‘삶의 주도권 찾기’로 나타났다. 넷째, 신중년 여성들의 삶의 경험과 의미의 관계성은 ‘진정한 자기가 되고자 함’이며, 이를 통해 자신과 화해하고, 자신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신중년 여성들이 자기 회복을 통해 현실에 적응하여, 건강한 사회관계를 유지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middle-aged women living in modern society. The research question was to explore what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mean to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hysicality of lif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middle-aged women were ‘consideration and care for oneself’ and ‘sustainable living.’ Second, the spatiality of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for middle-aged women was characterized by ‘absolute compliance’ and ‘a journey of conflict and overcoming.’ Third, the temporality of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for middle-aged women was expressed as ‘finding control of lif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xperiences and meaning for middle-aged women was ‘a desire to become their true selves,’ which enabled them to reconcile with themselves and accept themselve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middle-aged women will adapt to reality through self-recovery and maintain healthy social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