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부모 가구주의 고용 궤적이 청소년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우울과 자녀와의 대화 시간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Single Parents' Employment Trajectories on Adolescents' Media Overuse :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Depression and Time Spent in Conversation with Children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미진(Mi Jin Park) 오수미(Su Mi Oh)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7호, 325~34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 가구주의 고용 궤적이 청소년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에 미치는 경로를 분석한다. 기존 연구는 전체 가구 중심으로 이루어져 한부모 가구의 특성과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증하는데 한계가 존재했다. 따라서 한부모 가구를 대상으로 고용 궤적과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 간의 매개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원자료 중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한부모 가구 1,610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중 매개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의 고용 궤적은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에 상반된 방향의 간접 효과가 공존하여 총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비일관적 매개 구조를 보였다. 첫째, ‘전환기 실직’과 ‘지속적 미취업’ 등 불안정한 고용 궤적은 부모의 우울을 높여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을 심화시키는 위험 경로로 작용했다. 둘째, ‘한부모 전환기 취업 후 유지’ 집단은 자녀와의 대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어, 경제활동으로 인한 시간 제약이 정서적 상호작용을 제한하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한부모 전환기 일시 취업’ 집단은 대화 시간이 길어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을 완화하는 보호 경로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부모의 고용 경험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단순한 경제적 안정의 문제가 아니라, 부모의 심리적 자원(우울)과 관계적 자원(대화)을 매개로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부모의 고용 안정, 정신건강 지원, 부모-자녀 관계 증진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정책 및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함으로써, 청소년의 미디어 과의존 완화를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ingle parents’ employment trajectories influence adolescents’ media overdependence through parental depress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Using data from 1,610 single-parent households from the 2021 Survey on Single-Parent Families, a dual mediation model was tested. Results revealed opposing pathways: unstable employment increased parental depression, heightening adolescents’ media overdependence, while temporary employment after transition enhanced communication, reducing overdependence. Conversely, stable employment was linked to reduced communication time due to work demand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ndirect effects of single parents’ employment on adolescents via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factors, emphasizing policies that support job stability, mental health, and family communi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안전문화연구
- 민족연구
- 학교사회복지
- 한국심리학회지
- 한국가족복지학
- 인문사회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보건사회 연구
- 한국아동복지학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 학교사회복지
- 청소년복지연구
- 청소년시설환경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스트레스연구
- Human Ecology Research
- 학교사회복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Scientific Reports
- Harvard University Press
- Child development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Journal of Communication
- New Media & Society
-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