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안전벨트 미착용 관련 요인 - 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활용

이용수 0

영문명
Factors Associated with Seat Belt Non-Use Among Adolescents : Using the 2024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정선도(Sun Do Jung)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7호, 309~32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한민국 청소년의 좌석 유형별 안전벨트 미착용 실태를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정서적 특성, 위험행동 경험, 교내 안전·보건교육 경험과의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 2024년 제20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전국 중·고등학생 54,653명의 원시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좌석 유형별(앞좌석·뒷좌석·고속버스)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정의하였다. 복합표본 설계를 고려하여 Rao–Scott χ² 검정과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낮은 학업성취도(OR=1.26-1.53), 우울감 경험 '있음'(OR=1.08-1.14), 음주경험 '있음'(OR=1.34-1.52), 흡연경험 '있음'(OR=1.34-1.56), 예방교육 '미이수'(OR=1.11-1.32), 대피교육 '미이수'(OR=1.12-1.36)가 모든 좌석에서 미착용 위험을 높이는 공통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좌석별 분석에서는 앞좌석의 경우 군지역 거주(OR=1.55)와 중학생(OR=1.34)이 주요 예측 요인이었으며, 뒷좌석에서는 흡연(OR=1.56) 및 음주(OR=1.52) 경험이 가장 강력한 위험 요인이었다. 고속버스에서는 남학생(OR=1.24)이 유의한 예측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안전벨트 미착용이 사회경제적, 정서적 요인과 위험행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차원적 문제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중학생, 군지역 거주 학생, 위험행동 경험 학생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선별적 개입이 필요하며,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행동 내면화를 촉진하는 체험형 안전교육과 정신건강 지원을 연계한 통합적 정책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seat belt non-use among Korean adolescents by seat type and examined its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risk behaviors, and experiences of school-base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Using raw data from the 20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24), which included 54,65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seat belt non-use was defined separately for the front seat, rear seat, and express bus. Considering the complex sampling desig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Rao–Scott χ² test and complex-sample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low academic achievement (OR=1.26–1.53), depressive symptoms (OR=1.08–1.14), drinking (OR=1.34–1.52), smoking (OR=1.34–1.56), lack of prevention education (OR=1.11–1.32), and lack of evacuation education (OR=1.12–1.36) were common risk factors for non-use across all seat types. In seat-specific analyses, rural residence (OR=1.55) and being in middle school (OR=1.34)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front seat, while smoking (OR=1.56) and drinking (OR=1.52)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for the rear seat. For the express bus, being male (OR=1.24) emerg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eat belt non-use among adolescents is a multidimensional issue shaped by socioeconomic, emo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Targeted interventions for high-risk groups such as middle school students, rural adolescents, and those engaging in risk behaviors are essential, along with the expansion of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s that promote behavioral internalization and the integration of mental health support into comprehensive policy approach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아동간호학회지
  • 한국초등교육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 교육연구(성신여대 교육문제연구소)
  • 안전문화연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안전문화연구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 Frontiers in Psychology
  •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 Traffic Injury Prevention
  • Health education quarterly
  •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 The Lancet
  • Journal of Safety Research
  • Virtual Reality
  • Developmental Review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선도(Sun Do Jung). (2025).청소년의 안전벨트 미착용 관련 요인 - 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활용. 안전문화연구, (), 309-324

MLA

정선도(Sun Do Jung). "청소년의 안전벨트 미착용 관련 요인 - 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활용." 안전문화연구, (2025): 309-32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