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건설업 단위작업별 위험성평가 유해·위험요인 확인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 및 인프라 토공·철근콘크리트 공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ing the method of identifying hazardous and risk factors in risk assessment for each unit of work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 Focusing on architecture & infrastructure earthwork and reinforced concrete work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조중환(Joung Hwan Cho) 오태근(Tae Keun Oh)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7호, 267~28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국내 건설업은 산업재해와 사망사고 비중이 높은 산업으로 2024년 전체 산업 사망사고의 약 절반이 건설업에서 발생하며 특히 전문건설업 근로자의 비중이 높다. 이는 다수의 협력업체와 공종별 복잡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위험요인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어 떨어짐, 부딪힘, 끼임 등의 사고 발생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건설현장에서는 위험성평가 중 주로 빈도강도법 중심의 형식적 평가에 의존하고 있어, 단위작업별 특성을 반영한 유해위험요인 확인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문건설업 공종별·단위작업별 특성에 적합한 유해·위험요인 확인방법의 실효성 있는 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건축 철근콘크리트(철콘) 및 인프라 토공·철콘 공종을 수행하는 4개 전문건설업체 종사자 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위험요인 확인방법의 현재 활용 현황, 단위작업별 적용 필요성, 선택 사유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현장에서 위험성평가 빈도강도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시스템 비계·동바리, CPB, 보온양생, 화기작업, 밀폐공간 작업, 차량계 하역·건설기계 등의 단위작업에서는 작업계획서 또는 사전작업허가서 등 대체적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응답자의 다수는 단위작업별로 차별화된 확인방법을 적용할 경우 작업 특성에 맞는 위험요인 파악이 용이하고, 근로자의 이해 및 참여가 증진되어 재해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건설업의 작업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위험성평가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plagued by a high proportion of industrial accidents and fatalities Approximately half of all industrial fatalities in 2024 will occur mainly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This is due to the numerous subcontractors and complex work environments across various types of work, which often leave blind spots in risk management and a high probability of serious accidents. Construction sites primarily rely on risk assessments, primarily those based on frequency and intensity methods, which often hinder the precise identification of task-specific risk factor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n effective method for identifying hazards and risks appropriate for each task and type of work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3 workers from four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engaged in architectural reinforced concrete and infrastructure earthwork and reinforced concrete work. The surve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isk factor identification methods,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m to each task, and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m.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and intensity risk assessment method is widely used in most construction sites. However, the need for alternative methods, such as work plans or pre-work permits, was raised for unit tasks: system scaffolding and shoring, CPB, insulation and curing, hot work, confined space work, and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nd construction equipment. A majority of respondents believed that applying differentiated verification methods for each unit task facilitates the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tailored to the specific task, enhances worker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and is effective in preventing accident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develop a customized risk assessment system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설문조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