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셉테드 기반 학교 안전 취약점 평가와 건축계획 개선 방안

이용수 0

영문명
Assessment of School Safety Vulnerabilities and Architectural Planning Improvements based on CPTED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권지훈(Ji Hoon Kweo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7호, 125~14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셉테드 관점에서 초·중·고등학교의 환경적 취약점을 탐색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건축계획적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셉테드 이론과 주요 전략을 고찰하였고, 학교에 적용된 선행 연구의 한계를 탐색하였다. 학교외부, 학교내부, 학교안전인프라로 구분하여 수집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학교내부가 가장 취약한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특히 취약성이 도출되었다. 사립학교는 공립학교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상대적으로 취약하였고, 전략별로는 접근통제가 감시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세부적으로는 교직원 공간의 시각적 연계 부족, 출입구 수와 관리의 한계, 미사용 실의 수와 위치, 방문자 확인 공간의 부재 등이 핵심 취약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건축계획적 개선 방안으로는 내부 시야 확보와 CCTV 재배치, 동선 분리와 창호와 비전 패널의 설치, 교직원 공간의 시각적 연계 강화가 요구되었다. 또한, 사립학교는 예산 규모에 맞추어 단계적 개선이 필요하였다. 접근통제는 출입구 관리, 담장 설치, 전자출입통제시스템의 도입 등을 통해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미사용 실에 있어서는 재배치나 용도 전환과 함께 투시형 출입문, 센서 설치, 조도 개선을 통한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nvironmental vulnerabilitie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a CPTED perspective and to suggest architectural planning improvements. CPTED theory and its key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precedent school-related studies were analyzed for finding limitations. Data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school exterior, school interior, and school safety infrastructure—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ior was the most vulnerable area. Vulnerabilities were especially found in elementary and high schools. Private schools scored lower than public schools, showing relatively greater weakness. Among strategies, access control was rated lower than surveillance. Key vulnerability factors included poor visual connectivity of staff spaces, limited entrances and their management, the number and location of unused rooms, and the absence of visitor verification areas. The proposed improvement strategies were securing interior visibility, relocating CCTV, separating circulation routes, and installing windows and vision panels. Enhancing visual connections of staff spaces was also suggested. For private schools, phased improvements are needed based on budget size. Access control can be enhanced through entrance management, fence installation, and electronic access systems. For unused rooms, relocation or reuse was suggested, along with transparent doors, sensors, and improved light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셉테드 관점에서 학교 안전 조사 및 취약점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지훈(Ji Hoon Kweon). (2025).셉테드 기반 학교 안전 취약점 평가와 건축계획 개선 방안. 안전문화연구, (), 125-140

MLA

권지훈(Ji Hoon Kweon). "셉테드 기반 학교 안전 취약점 평가와 건축계획 개선 방안." 안전문화연구, (2025): 125-14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