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의 학습동기 특징 분석 - 한국도로교통공단 특별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Traffic Safety Education Participants : Focusing on Participants of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s Special Traffic Safety Education Program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형규(Hyung Gyu Lee) 오주영(Ju Young Oh) 박지은(Ji Eun Par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7호, 37~5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로교통법 제73조에 근거하여 운영되는 특별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의 학습동기 특징을 분석하고, 학습자 맞춤형 교통안전교육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등 5개 권역에서 음주운전(1·2·3회), 법규준수, 벌점감경, 배려운전 교육반의 교육생, 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검증(Cronbach’s α≥.75) 후 일원분산분석과 Tukey HSD 사후검정, 상관 및 회귀분석,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령별로는 20·30대에서 외적 동기가, 40대 이상에서 내적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반별로는 배려운전반과 법규준수반이 내적 동기가 높았고, 음주운전 1·2회반과 벌점감경반은 외적 동기가 높았으며, 음주 3회 이상반은 내·외적 동기 모두 낮아 저동기 위험군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권역별로는 수도권에서 내적 동기가, 충청권과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에서 외적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상관·회귀분석 결과 내적 동기는 자아효능감 및 학습전략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습전략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군집분석 결과 내적–자기주도형, 외적–도구적형, 혼합형, 저동기형의 네 집단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특별교통안전교육은 단순한 행정처분 절차를 넘어 성인 학습자의 동기 구조를 반영한 차별화된 설계가 필요하다. 특히 수강 등록 단계에서 동기를 진단하고, 군집 유형별 맞춤형 교수전략을 적용하며, 교육 이후 피드백까지 연계하는 체계는 교육 효과를 높이고 재범 억제 및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earning motivation of 500 participants enrolled in the Special Traffic Safety Education program mandated by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 The survey was conducted across five regions and various class types, and the data were tested for reliability (Cronbach’s α ≥ .75).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ith post-hoc tests [Tukey’s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HS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with age, whereas extrinsic motivation was more prominent among younger drivers. By class type, law-abiding and considerate-driving groups reported higher intrinsic motivation, while first- and second-offense DUI groups demonstrated higher extrinsic motivation, and the third-offense DUI group showed low levels of both. Regional differences were also evident: intrinsic motivation was stronger in metropolitan and southeastern areas, while extrinsic motivation was higher in central and southwestern area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ies and serv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learning engagement, whereas extrinsic motivation showed only weak associations with goal-oriented strategies.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learner types: intrinsic–self-directed, extrinsic–instrumental, mixed, and low-motivation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pecial Traffic Safety Education should move beyond administrative requirements to incorporate motivational diagnosis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ailoring teaching approaches to learner motivation can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reduce repeat offenses, and contribute to improved traffic safety outcom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형규(Hyung Gyu Lee),오주영(Ju Young Oh),박지은(Ji Eun Park). (2025).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의 학습동기 특징 분석 - 한국도로교통공단 특별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 37-52

MLA

이형규(Hyung Gyu Lee),오주영(Ju Young Oh),박지은(Ji Eun Park). "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의 학습동기 특징 분석 - 한국도로교통공단 특별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안전문화연구, (2025): 37-5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