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관의 안전을 고려한 자연채광 현황 분석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Daylighting Considering Safety in Museum
발행기관
한국셉테드학회
저자명
너민(Nomin Dorjsuren) 김진욱(Jin-wook Kim)
간행물 정보
『한국셉테드학회지』제16권 제2호, 169~20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미술관에서의 자연채광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공간별 채광 유형과 조도 변화를 실측하여 효과적이고 안전한 관람객의 이동 및 관람 안전을 고려한 채광 설계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및 국외 사례를 선정하여 채광 계획과 설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두 미술관의 주요 공간을 대상으로 2025년 1월 맑은 날, 오전 11시·오후 1시·오후 4시의 조도(lux)를 측정하고 채광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전시실에서는 작품 보존과 시각적 안정성을 위해 직접 채광을 제한하고 루버, 반투명 유리, 암막 등을 활용한 간접·확산 채광이 주로 사용되었다. 반면 로비, 복도, 휴게공간 등 비전시 공간에서는 대형 창, 천창, 중정 등을 통한 적극적인 자연광 도입이 확인되었으며, 평균 500~2000 lux 이상의 높은 조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전시물의 특성과 보존 요구, 특히 영상·설치 작품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연구는 향후 전시시설 설계시 공간 기능별로 차별화된 채광 전략과 함께 가변형 루버, 전동 암막, 광섬유 채광 등 정밀한 빛 제어 기술의 도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use of natural daylighting in contemporary museums and propose effective and safety daylighting design criteria by examining daylighting types and measuring illuminance variations by space. Case studie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eum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daylighting strategies and architectural features. Additionally, in two selected domestic museums, illuminance (lux) was measured at 11:00 AM, 1:00 PM, and 4:00 PM on a clear day in January 2025, and daylighting types were classified. The results show that exhibition spaces generally restrict direct daylight to preserve artworks and ensure visual comfort, predominantly using indirect or diffused daylight through louvers, translucent glass, and blackout systems. In contrast, non-exhibition spaces such as lobbies, corridors, and lounges actively incorporate large windows, skylights, and courtyards, with average illuminance levels often exceeding 500–2000 lux. These tendencies are closely linked to exhibit characteristics and conservation requirements, particularly with the growing prevalence of video and installation art. The study suggests that future exhibition facilities designs should adopt differentiated daylighting strategies based on space functions, incorporating advanced daylight control technologies such as adjustable louvers, motorized blinds, and fiber optic daylight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고찰
Ⅲ. 미술관 자연채광 유형 설정
Ⅳ. 미술관 자연채광 실태 조사
Ⅴ. 안전을 고려한 미술관의 자연채광 조도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박물관 보존과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너민(Nomin Dorjsuren),김진욱(Jin-wook Kim). (2025).미술관의 안전을 고려한 자연채광 현황 분석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6 (2), 169-202

MLA

너민(Nomin Dorjsuren),김진욱(Jin-wook Kim). "미술관의 안전을 고려한 자연채광 현황 분석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6.2(2025): 169-20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