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Research Methodology on Classical Chinese Prose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김우정(Woo-jeong Kim)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第72輯,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중기에 지어진 한문산문을 대상으로 그 문학성을 탐구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방법에 관한 의견을 밝힌 것이다. 특정한 시대, 특정한 작가에 의해 지어진 문장은 그것이 지닌 문예적 특징을 온전히 포착하여야 비로소 문학적 향유의 대상이 된다. 이를 반대로 말하자면 그 문예적 특징을 충분히 밝히지 못했다면 특정한 시대나 작가에 관한 연구라 할 명분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할 것이다. 비교적 많이 다루어진 주제, 내용, 표현, 수사, 문체 특징에 관한 연구의 경우, 연구자의 기호나 편의에 좌우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표현상의 특징으로 꼽은 것은 해당 산문의 일반적 특징인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산문사적 구도를 고려하여 유파적 특성이나 작품에 반영된 내면 의식, 작풍 등을 밝혀냄으로써 그 문학성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낼 필요가 있다. 또한 논평 자료를 인용할 때는 비평사적 관점에서 논평 이면에 깔린 논리와 배경을 세심히 살펴야 하며 논평자의 시각을 기계적으로입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려 사항들을 표현상의 영향 관계, 변문의 문체 분석, 새로운 장르의 출현 등으로 나누어 살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several practical methods for explor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Chinese prose written in the mid-Joseon period. Prose written in a specific era by a specific writer can only be appreciated if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are fully captured. Conversely, if these literary characteristics are not fully elucidated, the justification for studying a specific era or writer is inevitably diminished.
Research on relatively frequently discussed topics, content, expression, rhetoric, and stylistic features often swayed by the researcher's preferences or convenience, and what are often cited as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ten reflec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se in question. Therefore, their value can only be realized if they can explain how they connect with prose-historical structures, school-based tendencies, the author's inner consciousness, narrative background, and strategy. Furthermore, when citing commentary materials, the underlying logic and background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from a critical-historical perspective, avoiding the mechanical imposition of the commentator'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se considerations by categorizing them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influence of expression, the stylistic analysis of variant writing, and the emergence of new genr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典範의 흔적 탐색하기
3. 산문을 이해하는 또 다른 거울 : 騈文
4. 시대의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장르의 출현 : 壽序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