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olatil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endropanax morbiferus Tea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현숙경(Sook Kyung 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3호, 89~9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아열대성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에는 1속 1종의 고유 수종이 남부해안과 제주도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다. 황칠나무의 황색 수액은 고급도료로 사용되어왔으며, 학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예로부터 만병통치나무로 불리면서 민간에서는 잎을 우려내 차로음용해왔다. 선행 연구에서는 미백, 항산화, 항당뇨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칠차의 기능성 음료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휘발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40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20종은 테르펜 탄화수소로 전체의 49.2%를 차지하였다. 이들은 나무향, 풀향, 허브향, 향신료향을 나타내어 황칠차의 독특한 향미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통해 평가하였다.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각각 78.11 ± 1.48 및 45.88 ± 0.32 mg TAE/g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7.23 ± 0.50 및 72.78 ± 2.44 mg QUE/g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64.00 µ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86.07%, 에탄올 추출물이 90.59%에 도달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황칠차가 독특한 향미와 우수한항산화 활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어 기능성 음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Dendropanax morbiferus, a subtropical evergreen tree of the Araliaceae family, is native to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Jeju Island. Traditionally, its sap has been used as a high-quality paint, and its leaves brewed as tea.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whitening,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of D. morbiferus. This study evaluated the potential of D. morbiferus tea as a functional beverage by analyzing its volatile and antioxidant components. Forty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of which 20 were terpene hydrocarbons (49.2%). These compounds exhibited woody, fresh, herbal, and spicy aromatic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the distinctive aroma of the tea.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performing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78.11 ± 1.48 and 45.88 ± 0.32 mg TAE/g, respectively, while the flavonoid contents were 47.23 ± 0.50 and 72.78 ± 2.44 mg QUE/g, respectively.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ached 86.07% (water extract) and 90.59% (ethanol extract) at 64.00 μg/mL, showing strong antioxidant potenti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D. morbiferus tea has distinctive aromatic properties and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supporting its potential as a functional beverage.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J. Nutr. Health
- Nature
- Korean J. Medicinal Crop Sci.
- Korean J. Food Preserv.
- Food Chem.
- Ind. Crops Prod.
- Korean J. Biotechnol. Bioeng.
- J. Korea Acad.-Ind. coop. Soc.
- J. Chromatogr. A
- J. Life Sci.
- J. Kor. Tea Soc.
- J. Hosp. Tour. Stud.
- Korean J. Food Sci. Technol.
- J. Korean Soc. Food Sci. Nutr.
- Appl. Chem. Eng.
- J. Korean Soc. Food Nutr.
- Kor. J. Pharmacogn.
- J. Life Sci.
- Korean J. Food Preserv.
- Korean J. Medicinal Crop Sci.
- J. Kor. Tea Soc.
- Korean J. Mycol.
- Kor. J. Aesthet. Cosmetol.
- J. Ethnopharmacol.
- J. Ethnopharmacol.
- Kor. J. Microbiol. Biotechnol.
- J. Life Sci.
- Free Radical Res.
- J. Life Sci.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