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ed Anti-inflammatory Efficacy of Persicaria perfoliata Ethanol Extract Following Lactobacillus sakei Fermentation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윤현서(Hyun-Seo Yoon) 박충무(Chung Mu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1권 제3호, 62~6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Persicaria perfoliata는 전통적으로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고 민간요법에서는 다양한 질환의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의 다양한 연구에서 P. perfoliata가 항염증, 항종양, 항산화 효과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미생물 발효 기술은 천연물질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산업적인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조명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 perfoliata 에탄올 추출물(PEE)을 김치 유산균인Lactobacillus sakei로 발효(PEEF)한 후 항염증 활성을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산균 발효는MRS 배지에 전지분유 1%와 PEE 10%를 첨가한 조건에서 30°C에서 72시간 동안 수행되었고, PEEF는 동결건조한 뒤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PEE와 PEEF 모두 유의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유의적으로 nitric oxide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두 시료간 비교에서는 PEEF가 PEE보다 더 강한 NO 생성 억제 효과를보였다. 또한, NO와 prostaglandin E2 (PGE2)의 합성 효소인 inducible NO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2 (COX-2)의 발현 또한 PEEF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PEEF는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κB (NF-κB)와그 상위신호전달경로인 phosphoinositide-3-kinase (PI3K)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의 인산화또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PEEF는 NF-κB와 PI3K, MAPK 경로를 통해 염증 조절을 할 뿐만 아니라 PEE보다 강한 항염증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발효 과정에서 PEE에 포함된 배당체가 활성형의 비배당체로 전환되며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ersicaria perfoliata has traditionally been used for nutritional and medicinal purposes. In folk medicine, it has been applied to treat a range of disorders, and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its numerous functional bioactivi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d antioxidative effects. Microbial fermentation processes have often been explored to enhance the industrial availability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study, a P. perfoliata ethanol extract (PEE) was fermented by Lactobacillus sakei,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evaluated in RAW 264.7 cells.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in MRS broth containing 1% whole milk powder and 10% PEE at 30 °C for 72 hr. The PEE fermented extract (PEEF) was freeze-dried and resuspended in DMSO. Neither PEE nor PEEF exhibited any remarkable cytotoxicity. PEEF inhibited more nitric oxide (NO) production than PEE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Furthermore, PEEF markedly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O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hich are synthetic enzymes for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respectively.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PEEF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nuclear factor-κB (NF-κB) and its upstream signaling molecules, phosphoinositide-3-kinase (PI3K)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This improve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EF was attributed to an increased dose of the non-glycosidic forms from glycosides during fermentation, 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