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K-Culture as a Cultural Strategy in the Era of Hybridity and the Global Expansion of Pansori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조순자(Sun-ja Jo)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60집, 155~19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문화 환경 속에서 전통음악의 지속과 확산 가능성을 고찰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탐색하였다. 특히 혼종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통음악이 현대 대중음악과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적 의미를 형성하는 ‘제3의 공간’ 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텍스트적 접근은 로컬의 정체성과 글로벌 수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를 바탕으로, 민간중심의 창의적 시도에 대한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병행될 때, 전통음악은 정체성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전통예술계는 혼종성과 글로컬 전략을 실천적 차원에서 구체화하고, 이를 통해 전통과 현대, 로컬과 글로벌을 잇는 미래 지형을 새롭게 개척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for sustaining and disseminating traditional music within the global cultural environment and explores strategic directions to achieve thisgoal. Focusing on the concept of hybridity, it highlights the “third space” where traditional music merges with contemporary popular music to generate new cultural meanings. The intertextual dynamics within this space provide importantinsightsinto how local identity and global appeal can be secured simultaneously. Building on this foundation, when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accompany private-sector-led creative initiatives, traditional music can sustainably be promotedwhile maintaining its unique identity. Therefore, the traditional arts community should operationalize hybridity and glocal strategies in practice, thereby shaping a new cultural landscape that connects tradition and modernity, as well as the local and the global.
목차
1. 여는 글
2. 혼종성 기반 글로컬 전략의 이론적 검토
3. K-팝과 전통음악의 혼종화 사례 분석
4. 판소리의 세계적 확산을 위한 글로컬 전략
5. 맺는 글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