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dvertising Representation and Its Meaning in “Simcheong-jeon”: A Case Study of the LG Gram 360 Commercial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신호림(Ho rim Shin)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60집, 71~10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광고 <심청전 Dive 편>을 사례로 삼아, <심청전>의 현대적 재현방식을 다루었다. <심청전 Dive 편>에서는 두 단계의 전유를 통해 재현이 이루어진다. 하나는 줄리아 류가 <심청전>을 전유하는 단계, 다른 하나는 LG가 줄리아 류의 서사를 전유하는 단계이다. 첫 번째 전유에서는 재미 교포 3세인 줄리아 류가 심청과의 동일시를 통해 상상적인 유대감을 맺는 데에서서부터 출발한다. 줄리아 류는 <심청전>의 인당수 투신 장면을 재해석하여 로 재구성함으로써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해 나가고자 했다. <심청전 Dive 편>의 전반부는 그런줄리아 류의 정체성 찾기 서사를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한 것으로, 후반부에 나오는 줄리아 류의 내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현실’이 ‘존재하는 현실’로 전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두 번째 전유에서는 줄리아 류의 정체성 찾기 서사를 LG gram 360의 잠재적 소비자에게 투영함으로써 소비자를 욕망의 주체로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심청과 줄리아 류의 상상적 교환은 <심청전 Dive 편>의 후반부에 이르러 줄리아 류와 소비자와의 상상적 교환으로 이어지며, 줄리아 류는 심청을 매개로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소비자는 LG gram 360을 매개로 해당 제품을 욕망하는 구매자로서의 정체성을 부여받는다. 전유와 재전유의 연쇄는 <심청전>의 광고 전략이 이중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심청전 Dive 편>은 <심청전>의 현대적 재현 방식을 잘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이는 기존의 이본을 모본으로 상정하고 동일한 미디어 안에서 텍스트 기반 이본을 생성하던 전통적인 전승 방식과는 다른 차원의 것이다. <심청전 Dive 편>과 같은 오늘날의 <심청전>은 모본이 없는 새로운 아우라(aura)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다른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심청전>과 변증법적인 관계를 맺으며 기존에 없던 서사 내용과 주제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이런 재현 방식은 텍스트를 기반에 두지 않기 때문에 <심청전>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나 왜곡된 서사의 방향성을 보여줄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바로 연구자의 비평 또는 메타비평적 개입이 요청된다. 이런 비평을 통해 형성되는 긴장과 견제가 새로운 <심청전>의 가능성을 균형감 있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modern modes of representing “Simcheong-je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advertisement “Simcheong-jeon: Dive” edition. In this advertisement, representation unfolds through two stages of appropriation: Julia Ryu’s appropriation of “Simcheong-jeon,” and LG’s subsequent appropriation of Julia Ryu’s narrative. In the first stage, Julia Ryu, a third-generation Korean American, establishes an imaginative bond with Simcheong through identification. By reinterpreting the scene of Simcheong’s sacrifice and reconstructing it as “DIVE,” Ryu seeks to affirm her identity as a Korean. The first part of “Simcheong-jeon: Dive” visualizes Ryu’s search for identity through animation, while the narration in the latter par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an “imagined reality” into an “existing reality.” The second stage of appropriation occurs as LG projects Ryu’s identity-search narrative onto potential consumers of the LG Gram 360, thereby reconfiguring the consumer as a subject of desire. The imaginative exchange between Simcheong and Julia Ryu in the first part of the advertisement extends, in the latter part, to an imaginative exchange between Julia Ryu and the consumer. Through Simcheong, Ryu is granted an identity as a Korean, while through the LG Gram 360, the consumer acquires an identity as a desiring purchaser of the product. This chain of appropriation and re-appropriation demonstrates that the advertising strategy of “Simcheong-jeon” operates on dual levels. The “Simcheong-jeon: Dive” edition exemplifies contemporary modes of representing “Simcheong-jeon.” Unlike traditional methods of transmission, which presupposed an archetype and generated text-based variants within the same medium, “Simcheong-jeon: Dive” embodies a new dimension. Today’s “Simcheong-jeon,” as exemplified by this advertisement, possesses a new aura without a fixed archetype. It enters into a dialectical relationship with other media representations of “Simcheong-jeon,” presenting novel narrative content and thematic orientations not found in earlier versions. Since this mode of representation is not based on the original text, it can lead to misinterpretations or distorted narrative directions. At this point, critical or meta-critical interventionsby researchers become essential. The tension and dialogue generated through such critique provide a balanced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ies of a new “Simcheong-jeon.”
목차
1. 서론
2. 심청, 잃어버린 뿌리와의 재회
3. 심청의 서사를 매개한 광고 전략
4. <심청전>의 현대적 재현 방식과 쟁점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